'용병'에 의존해온 국힘, 대권주자 육성 등한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당에서 키운 인물 박근혜 후 없어
한덕수 전 국무총리를 국민의힘 대통령선거 후보로 사실상 추대하려던 움직임은 당 내부에서 대선 주자를 키워내지 못한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11일 정치권에 따르면 박근혜 전 대통령 이후 보수 정당에서는 대권과 당권 주자를 외부에서 수혈하려는 시도가 이어졌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경선 직전 입당해 ‘용병’으로 불렸고,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도 입당하자마자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으며 당권을 장악했다. 이번에 한 전 총리도 경선에 참여하지 않고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지위를 박탈당한 후 새벽에 긴급 입당했다.
이는 국민의힘이 내부에서 사람을 키우지 못했기 때문이다. 당의 자산이 될 인재를 육성하는 시스템이 원활하게 작동하지 않는 가운데 다른 목소리를 내면 ‘배신자’로 배척하는 분위기가 더해지며 고질화한 인적 자본 부재 현상이 보수 정당의 위기를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당내 기득권층이 젊은 정치인의 성장을 돕기보다는 다른 의견을 내놓으면 배신자로 낙인찍고 내쫓는 분위기가 지속된 결과란 지적도 나온다.
강진규 기자 [email protected]
11일 정치권에 따르면 박근혜 전 대통령 이후 보수 정당에서는 대권과 당권 주자를 외부에서 수혈하려는 시도가 이어졌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경선 직전 입당해 ‘용병’으로 불렸고,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도 입당하자마자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으며 당권을 장악했다. 이번에 한 전 총리도 경선에 참여하지 않고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지위를 박탈당한 후 새벽에 긴급 입당했다.
이는 국민의힘이 내부에서 사람을 키우지 못했기 때문이다. 당의 자산이 될 인재를 육성하는 시스템이 원활하게 작동하지 않는 가운데 다른 목소리를 내면 ‘배신자’로 배척하는 분위기가 더해지며 고질화한 인적 자본 부재 현상이 보수 정당의 위기를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당내 기득권층이 젊은 정치인의 성장을 돕기보다는 다른 의견을 내놓으면 배신자로 낙인찍고 내쫓는 분위기가 지속된 결과란 지적도 나온다.
강진규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