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공장 착공에만 6년…반도체 속도전 中 당해내겠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국 화웨이가 인공지능(AI) 칩 등 고성능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생산시설 건설에 속도를 내고 있다는 소식이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실린 위성 사진엔 중국 선전시 광밍구에 지어지고 있는 대규모 반도체 제조공장 세 곳이 등장한다. 한 곳은 화웨이가, 다른 두 곳은 관계사들이 운영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2022년 처음 지어지기 시작한 시설이 2년여 만에 대규모 산업단지로 탈바꿈한 점이 눈에 띈다.
이 단지는 ‘중국 반도체 독립’의 상징이다. 미국은 2019년부터 첨단기술이 중국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봉쇄했다. 그러자 중국은 반도체 생태계 전체를 자국 내에 구축하는 프로젝트로 맞불을 놨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메모리 반도체 제작), 엔비디아(AI 칩 설계), ASML(반도체 장비 제작), TSMC(비메모리 반도체 수탁생산) 등이 나눠 가진 반도체 관련 기술 일체를 국산화하는 것이 중국의 최종 목표다.
중국은 신산업 속도전에 능한 나라다. 국가가 국유 금융기관을 통해 무제한으로 자금을 대고, 자국에 없는 인재는 두세 배 몸값을 치르더라도 해외에서 데려온다. 걸림돌이 될 수 있는 환경이나 노동 규제는 아예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엔비디아의 최첨단 가속기 없이 미국 빅테크의 AI 모델과 성능이 비슷한 ‘딥시크’를 개발하는 등 이미 구체적인 성과도 여럿 나왔다. FT 등 해외 언론이 중국의 반도체 독립 프로젝트를 위협적으로 평가하는 이유다.
반도체와 AI산업의 주도권을 뺏길 수 있는 위험천만한 상황임에도 한국은 ‘강 건너 불구경’이다. 2019년 초 건설 계획이 발표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가 지난 2월에야 첫 삽을 뜬 것이 한국의 현주소다. 120조원이 투입되는 용인 프로젝트는 우여곡절이 많았다. 지방자치단체 반발로 인허가가 지체됐고, 토지 보상 과정에서도 진통이 상당했다. 막판엔 전력 공급 문제까지 불거지며 착공이 3년가량 늦어졌다.
대선을 앞두고 반도체산업을 육성하겠다는 공약이 줄을 잇고 있다. 수사는 그럴듯하지만 기업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것은 세액공제 확대 정도다. 이런 수준으론 중국을 당해내기 힘들다. 기업이 인허가와 인프라 구축을 고민하지 않도록 대대적인 규제 철폐에 나서야 할 때다
이 단지는 ‘중국 반도체 독립’의 상징이다. 미국은 2019년부터 첨단기술이 중국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봉쇄했다. 그러자 중국은 반도체 생태계 전체를 자국 내에 구축하는 프로젝트로 맞불을 놨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메모리 반도체 제작), 엔비디아(AI 칩 설계), ASML(반도체 장비 제작), TSMC(비메모리 반도체 수탁생산) 등이 나눠 가진 반도체 관련 기술 일체를 국산화하는 것이 중국의 최종 목표다.
중국은 신산업 속도전에 능한 나라다. 국가가 국유 금융기관을 통해 무제한으로 자금을 대고, 자국에 없는 인재는 두세 배 몸값을 치르더라도 해외에서 데려온다. 걸림돌이 될 수 있는 환경이나 노동 규제는 아예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엔비디아의 최첨단 가속기 없이 미국 빅테크의 AI 모델과 성능이 비슷한 ‘딥시크’를 개발하는 등 이미 구체적인 성과도 여럿 나왔다. FT 등 해외 언론이 중국의 반도체 독립 프로젝트를 위협적으로 평가하는 이유다.
반도체와 AI산업의 주도권을 뺏길 수 있는 위험천만한 상황임에도 한국은 ‘강 건너 불구경’이다. 2019년 초 건설 계획이 발표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가 지난 2월에야 첫 삽을 뜬 것이 한국의 현주소다. 120조원이 투입되는 용인 프로젝트는 우여곡절이 많았다. 지방자치단체 반발로 인허가가 지체됐고, 토지 보상 과정에서도 진통이 상당했다. 막판엔 전력 공급 문제까지 불거지며 착공이 3년가량 늦어졌다.
대선을 앞두고 반도체산업을 육성하겠다는 공약이 줄을 잇고 있다. 수사는 그럴듯하지만 기업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것은 세액공제 확대 정도다. 이런 수준으론 중국을 당해내기 힘들다. 기업이 인허가와 인프라 구축을 고민하지 않도록 대대적인 규제 철폐에 나서야 할 때다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