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국민 대다수가 다음달 4일 취임하는 차기 대통령의 최우선 과제로 ‘경제 회복’을 꼽았다. 올해 0%대 ‘제로성장’ 우려에 빠진 경제를 되살리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본 것이다.

한국경제신문이 여론조사업체 입소스에 의뢰해 18일 공개한 대선 후보 여론조사에 따르면 ‘차기 대통령이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국정 과제’를 꼽아달라는 질문에 응답자 1002명 중 52%가 ‘경제 회복’을 골랐다.

도널드 트럼프 관세 대응 등 외교 분야(7%)도 경제와 관련이 깊은 점을 고려하면 60%에 가까운 응답자가 경제 분야 대응이 시급하다고 본 것으로 여겨진다.

영호남 등 지역과 성별, 연령대, 지지 정당, 직업, 생활 수준 등을 막론하고 모두 한목소리로 경제 회복이 필요하다고 봤다. 다만 이념 성향별로 보면 일반적으로 경제를 더 중시하는 것으로 알려진 보수 성향 응답자의 경제 회복 요구가 47%로 가장 적었다. 중도와 진보층에선 각각 53%, 55%가 경제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이 같은 조사 결과는 현재 한국 경제가 그만큼 안 좋다는 점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경제 지표는 계속 악화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 1분기 경제성장률은 전 분기 대비 -0.2%로 역성장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1.6%에서 0.8%로 내렸다. 건설업 부진과 통상 우려 등이 경제의 발목을 잡을 것으로 분석했다.
최우선 국정 과제 물어보니…"차기 대통령 경제회복 먼저"
좌우 극단으로 나뉜 갈등을 통합하는 일도 필요하다고 봤다. 응답자 중 15%가 국민 통합을 최우선 과제로 제시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과 이어진 탄핵 국면에서 격화한 대립을 ‘통합의 리더십’으로 완화해야 한다는 의미다.

개헌 등 정치개혁, 저출생·고령화 대응이 각각 10%로 뒤를 이었다. 이 중 저출생·고령화 대응은 18~29세 응답자의 21%, 30~39세의 16%가 시급한 과제로 평가했다. 이들 세대에선 경제 회복 다음으로 중요한 과제로 꼽혔다. 70세 이상은 4%가 저출생·고령화 대응을 우선 과제로 지목해 세대 간 인식 차가 컸다.

강진규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