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 17일 국민의힘을 탈당하면서 6·3 대선 전 보수 진영의 가장 큰 부담이 사라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를 비롯해 윤 전 대통령과의 절연을 주장해 온 인사들이 선거 운동에 뛰어들 발판이 마련됐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다만 일각에선 시기를 놓쳤다는 지적이 나온다.

윤 전 대통령은 SNS에 올린 글을 통해 “저는 오늘 국민의힘을 떠난다”며 “대선 승리와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지금 제가 할 수 있는 최선의 길이라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윤 전 대통령 절연 문제를 두고 지난해 말부터 내홍을 겪었다.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이후 당내 일부 인사는 윤 전 대통령과 거리를 둬야 한다고 주장했고, 또 다른 인사들은 윤 전 대통령과 함께 가야 한다고 반박해 왔다.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윤 전 대통령에게 우호적이던 김문수 후보가 선출되면서 논란은 더 커졌다.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를 정리하지 않으면 중도층을 포섭할 수 없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정중하게 탈당을 권고드린다”며 탈당을 압박하기도 했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윤 전 대통령 관련 논란을 잠재울 수 있는 측면에서 다행이라는 반응이 나온다.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언론의 관심이 윤 전 대통령 탈당에 집중돼 있어 김 후보의 장점과 진면목을 제대로 알리지 못했다는 안타까움이 있다”며 “이 문제가 마무리된 만큼 남은 2주간의 선거 운동 기간 자유롭게 유세할 기반이 마련됐다고 본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의 탄핵 변론을 맡았던 석동현 변호사도 국민의힘 선거대책위원회에서 17일 사퇴했다.

윤 전 대통령 탈당으로 ‘보수 빅텐트’를 꾸릴 토대가 마련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그동안 김 후보 지지 유세를 하지 않은 한 전 대표는 20일 부산을 시작으로 전국 유세에 나선다.

다만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는 윤 전 대통령 탈당에 대해 “탈당한다고 비상계엄 원죄를 지울 수 없고,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이 김정은 독재 국가 같다던 김 후보의 시대착오적 인식이 가려질 수 없다”며 단일화 가능성에 재차 선을 그었다.

이슬기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