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여름이 코앞이다. 디지털 플랫폼 아고다(Agoda)는 한국 문화를 좋아하는 여행객들이 즐길 만한 국내 축제 명소 4곳을 소개한다.
한국의 문화 축제는 특색있는 경험을 추구하는 외국인 관광객은 물론 내국인에게도 매력적인 여행 콘텐츠다. 아고다가 발표한 '2025 여행 트렌드 설문조사'에 따르면, '문화 체험'은 국내 여행객들의 주요 여행 동기 중 세 번째로 높은 선호도(34%)를 보였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의 조사에서도 '의미 깊은 현지 체험(로컬리즘 추구)'이 국내 여행객의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로 나타났다. 한국관광공사가 올해 1월 발표한 보고서에 의하면 외국인 관광객 사이에서도 한국 전통문화 체험이 주요 여행 트렌드 중 하나로 떠올랐다.
올여름 K-컬처의 매력에 빠져들고 싶은 여행객을 위해 아고다 플랫폼에서 작년 여름 대비 검색량 증가를 보이는 축제 명소 네 곳을 소개한다.
강릉단오제. 사진=강릉단오제위원회
5월 : 2025 강릉단오제
단오는 양기, 또는 생명의 기운이 가장 왕성한 한국의 민속 명절 중 하나다. 강릉에서 단오는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5월 27일~6월 3일 사이에 열리는 '강릉 단오제'의 본고장이기 때문. 2005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축제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대사 없이 춤과 음악만으로 이루어진 관노가면극으로 유명하다. 종이부채 만들기, 창포물에 머리 감기, 수리취 떡 맛보기 등 다양한 단오 풍속을 즐길 수 있다. 한편 강릉은 작년 대비 검색량이 9% 증가했다.
무주 한풍루. 사진=무주문화원
6월 : 무주국가유산야행
뿌리깊은 문화유산을 자랑하는 무주는 아고다 플랫폼에서의 검색량이 39% 증가하며 국내 여행객과 방한 여행객으로부터 주목받고 있다. 6월 13~14일 이틀간 개최되는 '무주국가유산야행'은 국가유산과 예술, 맛을 통해 역사 속 생생한 이야기를 오늘날 여행객에게 선사한다.
행사의 백미로 조선시대 명필 한석봉이 쓴 현판을 내건 한풍루와 최북미술관에 전시된 아름다운 바다 풍경을 담은 작품들이 기다리고 있다. 방문객은 남대천교 사랑의 다리와 무주상상반디숲의 도서관, 문화센터를 지나 과거 여행에서 다시 오늘날로 돌아올 수 있다. 나물과 버섯으로 만든 향토 음식과 어죽은 빼놓을 수 없는 무주의 별미다.
부여서동연꽃축제. 사진=부여서동연꽃축제
7월 : 부여서동연꽃축제
사랑과 전설의 도시이자 백제의 수도였던 부여. 여름 여행을 위한 숙박 검색량이 5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여의 상징적 명소인 궁남지는 선화공주와 백제 무왕이 된 서동의 사랑 이야기의 배경이 되는 곳이다. 7월 4~6일까지 부여서동문화축제가 열리는 서동공원은 축제 기간이면 분홍빛 연꽃과 수련으로 물든다.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4년 연속 우수축제로 선정됐으며, 낮에는 다양한 음악 공연이, 밤에는 수려한 연꽃 드론 쇼가 펼쳐진다.
통영한산대첩축제 전경. 사진=한국관광공사
8월 : 통영한산대첩축제
웅장한 바다를 배경 삼아 8월 9~14일까지 개최되는 통영한산대첩축제로 충무공 이순신 장군을 기린다. 여행객은 전국 거북선 노 젓기 대회에 참가해 무더위를 물리치고, 삼도수군 통제사 행차 재현, 밤바다 위에 펼쳐지는 화려한 불꽃놀이 등 다채로운 행사를 즐길 수 있다. 시원한 갈치호박국과 고소한 하모 회는 통영의 대표 먹거리다. 아고다에 따르면 통영은 검색량이 46% 증가하며 인기를 끌고 있다.
이준환 아고다 한국지사 대표는 "방한 여행객뿐만 아니라 내국인 여행객들 사이에서도 문화적 경험이 여행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며 "아고다는 여행객이 K-컬쳐에 빠져들 수 있도록 최적의 숙소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