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반도체 시장 뒤처진 韓…'피지컬 AI'로 역전 노린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웨스틴조선 서울에서 AI 반도체 협업포럼을 열어 팹리스들이 개발 중인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데모 시연을 하는 자리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날 포럼에 참여한 LG전자·현대자동차 등 4대 분야 수요기업들은 산업부와 ‘프로젝트 협력 MOU’를 체결했다.
이 프로젝트는 4대 분야별 온-디바이스 AI 반도체와 소프트웨어(SW), 모듈, AI 모델 등을 통합형으로 개발 및 실증하는 사업이다. 반도체 산업 지형은 PC, 모바일 시대를 거쳐 최근엔 챗GPT와 같은 클라우드 기반의 ‘생성형 AI 시대’에서 개별 디바이스(제품)별로 맞춤형 AI가 탑재되는 ‘피지컬 AI 시대’로 전환되는 변곡점에 놓여 있다.
이에 산업부는 수요기업을 중심으로 반도체 업계와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생태계를 함께 구성해, 피지컬 AI 시대를 선도해 나가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자동차, IoT·가전, 기계·로봇, 방산 등 4대 분야를 선정해 193건의 기획 수요를 접수 받아 4대분야 6개 세부 개발 과제를 기획했다. 현재 1조원 규모의 대형 프로젝트 기획을 마무리하고 있다.
세부 개발과제로는 △자율주행 반도체 : 터널 속이나 재난 상황에서 실시간 학습해 자율주행, △가전 반도체 : 가족 구성원별로 음성과 행동패턴 학습해 실내환경 조성, △기계로봇 : 협동로봇 기반 정밀작업, 실시간 인지해 맞춤형 돌봄 서비스, 무인 트랙터, △방산 : 전시에 무인기가 통신 연결 없이도 자체 판단해 목표물 타격 등이다.
김리안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