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텍사스대 오스틴이 최첨단 반도체 인재 육성소로 거듭난 비결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로제 보네케이즈 미 텍사스대 오스틴의 코크렐 공대 학장 인터뷰

로저 보네케이즈 미국 텍사스대학교 오스틴(UT Austin)의 코크렐 공과대학 학장은 최근 자신의 사무실에서 한 인터뷰에서 "인공지능(AI) 열풍을 계기로 반도체 산업은 최근 어떤 분야보다 빠르게 기술이 고도화되고 있어 제품 상용화까지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선 소재, 제조공정, 설계 기술 등 모든 분야에서 기업과 선제적인 협력이 중요해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훌륭한 교수진과 최첨단 시설도 물론 중요하지만 학생들이 직접 기업과 부딪히면서 연구를 하는게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 능력을 키우는데 큰 도움이 된다"며 "코크렐 공대의 모든 학생들은 최소 한번 이상의 인턴십 등의 실무 경험을 쌓고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 남부 텍사스주 오스틴에 있는 대표 명문대학인 텍사스대의 코크렐 공대는 최근 반도체를 비롯한 양자공학 등 최첨단 산업 인재 양성소로 주목받고 있다. 텍사스가 '제2의 실리콘밸리'로 부상하면서 오늘날 애플, 테슬라, 메타, 엔비디아 등과 같은 혁신기업 창업을 꿈꾸는 공학 인재들이 대거 몰려들었기 때문이다. 그 배경엔 텍사스주 정부가 글로벌 테크 기업에 파격적인 세제 혜택 등과 같은 유인책을 제공해 테슬라와 오라클, 휴렛패커드 등이 본거지를 텍사스로 이전시킨 노력이 있었다.
코크렐 공대는 미국 뉴스 앤 월드 리포트 조사에서 미국 내 공과대학 학부 순위에서 2023년 11위에서 10위로 상승했다. 대학원 순위에선 7위를 유지했다. 지난 5년간 확보한 연구비도 30% 정도 증가했다. 매년 10억 달러(약 1조4000억원) 이상의 연구자금을 확보하고 있다. 미 전역 공대 중 3~4위권 순이다.


보네케이즈 학장은 이를 통해 텍사스가 반도체 제조 허브로 거듭날 것으로 내다봤다. 지금도 반도체 산업을 지원하는 협력사들이 텍사스로 본거지를 이전하는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어서다. 그는 "몇년 새 반도체 산업에서 텍사스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며 "대학을 중심으로 활발한 연구, 기업들과 협력을 통해 텍사스는 계속 성장해갈 것"이라고 말했다.
오스틴=김채연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