낡은 서울…오피스 절반 '30년 이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0년 이내' 신축 9% 불과
서울 주요 업무지구의 오피스 빌딩이 낡아가고 있다. ‘신축, 대형, 고스펙’ 오피스를 선호하는 최근 트렌드를 따라가지 못해 도시의 글로벌 경쟁력이 뒤처질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12일 건축행정시스템 세움터에 따르면 서울 도심·강남·여의도 등 3대 권역 업무지구 내 연면적 1만6500㎡ 이상 오피스 빌딩의 47%(2024년 말 기준)가 30년 이상 된 노후 건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10년 미만 신축은 9%에 불과했다. 일본 도쿄의 10년 미만 오피스 비중(19%)이 40년 이상 된 오피스(18%)를 앞지른 것과 대비된다.
서울 주요 업무지구에서 연면적 10만㎡ 이상의 ‘프라임 오피스’가 차지하는 비중도 0.6%에 불과했다. 공급 부족으로 프라임 오피스 공실률이 하락하고, 임대료는 오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형 오피스 수요에 맞는 새로운 복합 개발과 리츠(부동산투자회사) 조달이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강영연/이인혁 기자 [email protected]
12일 건축행정시스템 세움터에 따르면 서울 도심·강남·여의도 등 3대 권역 업무지구 내 연면적 1만6500㎡ 이상 오피스 빌딩의 47%(2024년 말 기준)가 30년 이상 된 노후 건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10년 미만 신축은 9%에 불과했다. 일본 도쿄의 10년 미만 오피스 비중(19%)이 40년 이상 된 오피스(18%)를 앞지른 것과 대비된다.
서울 주요 업무지구에서 연면적 10만㎡ 이상의 ‘프라임 오피스’가 차지하는 비중도 0.6%에 불과했다. 공급 부족으로 프라임 오피스 공실률이 하락하고, 임대료는 오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형 오피스 수요에 맞는 새로운 복합 개발과 리츠(부동산투자회사) 조달이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강영연/이인혁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