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대철과 악수하는 한덕수 > 한덕수 전 국무총리(오른쪽)가 지난 3일 서울 여의도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정대철 헌정회장(왼쪽)과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 정대철과 악수하는 한덕수 > 한덕수 전 국무총리(오른쪽)가 지난 3일 서울 여의도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정대철 헌정회장(왼쪽)과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선 출마를 선언한 한덕수 전 국무총리는 지난 3일 정대철 헌정회장을 만나 “개헌을 위한 빅텐트를 치겠다”며 “개헌을 완수하면 즉각 하야하겠다”고 말했다. 한 전 총리는 “우리가 빅텐트를 한다면 개헌을 위한 빅텐트 그것 이외에는 아무것도 없다”며 특정 인물이나 세력이 아니라 개헌을 위한 연대를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한 전 총리는 4일 공식 SNS 채널을 개설하는 등 본격적인 대선 행보를 시작했다.

한 전 총리는 대선 출마 선언 다음날인 3일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정 회장 등 정치 원로와 회동하면서 대선 출마와 관련한 생각을 설명했다. 그는 “새 정부 첫날에 대통령 직속으로 지원 기구를 만들겠다”며 “여러 방안을 가지고 국민 의견을 수렴해 곧바로 개헌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전직 국회의원 모임인 헌정회는 대선 주자들을 향해 신속한 개헌 추진을 적극적으로 요구해 왔다.

더불어민주당 등의 반대 가능성에 대해선 “이 일은 한두 정치 세력이 아니라 우리 국민이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국민을 위하고 국민에 의한 개헌을 하자는 데 반대하면 국민의 준엄한 심판을 받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정치권에서는 한 전 총리가 ‘범보수 빅텐트’ 혹은 ‘반이재명 빅텐트’가 아니라 ‘개헌 빅텐트’를 전면에 내세울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특정 인물의 당선을 막겠다는 빅텐트나 특정 집단을 위한 빅텐트는 명분이 부족하다는 이유에서다.

한 전 총리 측은 단일화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 전 총리도 “단일화는 토론과 여론조사 등 모든 방안에 대해 다 열려 있다”고 말했다. 한 전 총리 측은 국민의힘 사무총장에게 “단일화 관련 룰을 비롯한 모든 사안을 중앙당에 일임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한 전 총리는 2일 오세훈 서울시장과 만난 데 이어 3일에는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서 패배한 한동훈 후보에게 “그동안 고생했다. 만나자”는 내용이 담긴 메시지를 보냈다.

한 전 총리 측이 본격적인 대선 체제로 전환하고 있다는 평가가 많다. 당장 한 전 총리의 발언은 대통령 권한대행 시절보다 수위가 높아졌다. 이재명 민주당 후보를 겨냥해 “정치적인 목적으로 개헌에 동의하는 듯하다가 말을 바꾸는 것은 국민에 대한 중대한 범죄”라고 비판한 게 대표적이다. 그는 또 “어떤 정치인은 대법원이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했는데도 계속 대선 후보로 출마해야 한다고 한다”며 이 후보를 공격하기도 했다.

이날은 서울 도렴동 종교교회에서 열린 예배에 참석했다. 한 전 총리는 종교교회 원로권사, 부인 최아영 씨는 같은 교회 집사로 등재돼 종교교회와 50년 가까운 인연을 이어오고 있다고 캠프 김소영 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한 전 총리는 이날 TV 인터뷰를 잇달아 했고, 남은 시간 동안에는 토론회 등을 준비한 것으로 전해졌다.

양현주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