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희숙 연설 파장…김문수 "당 변화 간절한 목소리" 안철수 "온전히 따르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윤희숙 "당에 남겨진 건 깊은 좌절 뿐"
안철수 '친윤 인사' 비판에 "깊이 공감한다"
안철수 '친윤 인사' 비판에 "깊이 공감한다"

국민의힘 싱크탱크 여의도연구원의 윤희숙 원장이 지난 25일 “권력에 줄서는 정치가 결국 계엄과 같은 처참한 결과를 낳았다”며 대국민 사과를 한 데 대해 국민의힘 대선 후보들이 일부 공감대를 형성했다. 김 후보는 “당 변화의 절박함을 담은 간절한 목소리였다”고 평가했고, 안 후보는 “모든 말씀을 무겁게 받아들이고 온전히 따르겠다”는 목소리를 냈다.
윤희숙 원장은 지난 24일 첫 당 정강·정책 방송 연설에서 “말씀드리기에 너무나 고통스럽지만, 당이 만만했기 때문에 대통령도 계엄 계획을 사전 통보하지 않은 것”이라며 “알았더라면 당내 많은 이가 용산으로 달려가 결사코 저지했을 것”이라며 말했다. “아무리 차분히 바라본다 해도 지난 3년은 다수당이 의석수로 정부를 무력화시킨 무정부 상태였다” “이런 정치가 그대로인데 정권만 바뀐다고 무엇이 달라지겠느냐”는 등 날선 발언들을 연이어 쏟아냈다.
그는 “당에 남겨진 것은 깊은 좌절과 국민의 외면뿐”이라며 “국민의힘은 진심으로 뉘우치고 있다. 국민들께 진심으로 사죄드린다”고 고개를 숙이기도 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선포와 탄핵을 둘러싼 일련의 사태에 대해 자성의 목소리를 낸 것이다.
윤 원장의 통렬한 반성문에 국민의힘 당내 파장도 커지고 있다. 정강·정책 연설은 소속 당의 정치적 이념, 비전, 주요 정책 방향을 공식적으로 설명하고 알리는 자리인 만큼 내부비판하는 사례가 드물다. 그만큼 윤 원장의 이같은 발언은 탄핵 정국에 대한 당내 위기의식을 드러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당 지도부는 해당 연설을 사전 검토하진 않았다는 입장이지만 사실상 용인해준 것이라는 관측이 안팎에서 제기된다. 윤 전 대통령과의 고리를 끊지 않으면 더불어민주당을 상대로 대선 승리가 어려울 것이란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는 점에서다. 윤 원장의 발언을 계기로 이같은 기조가 당내에 더 확산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들도 관련해 속속 입장을 밝혔다. 이날 오전 공약 발표 기자회견을 연 김문수 후보는 윤 원장 연설에 대한 소감을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발버둥을 치지 않으면 우리가 나라에 죄를 짓고 국민에 죄를 짓는 것이란 절박함을 담은 간절한 목소리였다”고 평가했다. 사실상 윤 원장의 발언에 공감대를 형성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어떤 분들은 좋다고 안 좋다고 할 수도 있다”면서 “제가 볼 때는 우리 당이 변화해야 한다. 살아야 하고 또 대한민국을 책임져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안철수 후보는 전날 페이스북을 통해 “윤 원장이 밝힌 사과와 참회의 말씀에 깊이 공감한다”며 “모든 말씀을 무겁게 받아들이고 온전히 따르겠다”는 입장문을 발표했다. 윤 원장의 ‘친윤 인사’ 비판과 관련해선 “국민이 아닌 권력을 위한 정치가 결국 얼마나 참담한 비극을 초래하는지 다시금 새긴다”고 적었다.
“국민 대통령은 이 비정상적인 위기를 바로잡고 즉시 물러나는 ‘3년 대통령’이어야 한다”는 윤 원장의 제안엔 “이미 약속드린대로 임기 3년의 개헌 대통령이 되겠다”고 말했다. 안 후보는 앞서 2028년 총선과 대선을 동시 실시하기 위해 대통령 임기를 기존 5년에서 3년으로 줄이는 ‘임기 단축 개헌’에 찬성 입장을 밝혔다.
하지은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