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UAE 세계 최대 데이터센터 건설 지원 나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 16일 블룸버그통신은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오픈AI가 전날 미국 정부가 발표한 5기가와트(GW) 용량의 데이터센터 건설 프로젝트 참여를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데이터센터는 여의도 면적의 4배에 달하는 약 26㎢ 면적에 원전 5기의 전력 생산량과 맞먹는 수준의 에너지를 사용하게 된다. 그동안 세계 각국에 건설이 완료됐거나 건설 계획이 발표된 데이터센터 중 가장 큰 규모다. 보도에 따르면 오픈AI는 오라클과 함께 건설 자금을 지원하고 전체 5GW 용량 중 일부를 사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참여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오픈AI는 지난 7일 “미국 정부와 함께 전 세계에서 민주적인 AI 기반을 구축하고자 하는 국가들을 지원하겠다”며 ‘오픈AI 포 컨트리’ 이니셔티브를 발표하고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의 범위를 미국의 우방국까지 확대했다. 각국의 AI 인프라 확충을 지원해 중국이 이들 국가와 AI 분야 협력을 하지 못하도록 막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실제 조 바이든 전 행정부는 UAE가 미국산 첨단 AI 칩이 중국으로 전용되는 우회로로 활용되고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첨단 AI 칩의 수출을 통제해왔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에 UAE로부터 미국 기술 전용 방지에 대한 약속과 2000억달러(약 280조원) 규모의 투자 약속을 받고 수출 제한 조치를 풀었다.
AI 시장 영향력 확대를 꾀하고 있는 오픈AI는 트럼프 행정부 정책에 적극 발맞추는 동시에 빅테크와의 경쟁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오픈AI는 이날 코딩에 특화된 AI 에이전트(비서) ‘코덱스’를 일부 개발자를 대상으로 공개했다. 자사 추론 모델 ‘o3’를 기반으로 작동하는 코덱스는 코드 작성, 버그 수정, 검사 실행 등의 여러 작업을 동시에 수행해 개발자들의 업무 시간을 대폭 단축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오픈AI는 이 모델을 통해 내세워 비슷한 모델을 공개한 구글, 아마존, 앤스로픽 등과의 경쟁에서도 우위를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실리콘밸리=송영찬 특파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