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미국과의 통상협상에 대해 “우리가 맨 먼저 나서서 협상을 조기 타결할 필요가 없다”며 “지금 협상을 서두르면 안 된다”고 18일 말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취임 즉시 한·미 정상회담을 열고 관세협상 유예시한 전에 협상을 마무리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으로 열린 경제 분야 방송 토론회에서다.

이 후보는 “미국이 협상에서 요구하는 게 많겠지만 100% 관철하겠다는 건 아닐 것”이라며 “일본도 미리 (협상)하겠다는 입장이었다가 지금 선회하고 있고, 중국도 마찬가지로 강경하게 부딪히다 상당 정도 타협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정부 구성도 안 됐는데 지금 서두르면 안 되는 것 아닌가”라고 했다.

김 후보는 한·미동맹을 강조했다. 김 후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저는 우호적인 관계, 여러 가지 신뢰적 관계가 형성돼 있는데, 이런 신뢰를 바탕으로 당선되면 한·미 정상회담을 바로 개최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한·미 신뢰를 바탕으로 관세협상을 오는 7월 8일 유예시한 전에 성공적으로 끝내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재명 후보의 외교관을 둘러싼 공방도 이어졌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는 “이재명 후보는 최근 중국과 대만에 관여하지 말고 ‘셰셰(중국어로 고맙습니다)’하면 된다고 해 비난받았다”며 “너무 친중국적 입장이 아니냐”고 비판했다. 이재명 후보는 “대만과 중국의 분쟁에 우리가 너무 깊이 관여할 필요가 없다는 의미”라며 “이를 친중이라고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표현”이라고 반박했다. 이준석 후보는 또 “이재명 후보는 일본을 과거 ‘적성국가’라고 표현했는데, 이런 접근으로는 복잡한 전략환경을 감당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슬기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