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안동 용상동 ‘트리븐 안동’
경북 안동 용상동 ‘트리븐 안동’
오는 6월 대선을 앞두고 지방 분양시장이 움츠러들고 있다. 여전히 많은 미분양 물량에 시장 불확실성까지 겹친 영향이다. 이달 지방에서는 아파트 4700가구가 공급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달(1만1448가구)과 비교해 60% 가까이 급감한 수준이다. 최근 5년 새 최소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지방 경제 위축과 고금리 장기화, 부동산 시장 양극화 등이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공급 가뭄 속에 중대형 면적에 커뮤니티를 고급화한 단지가 적지 않아 수요자의 관심을 끌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 이달 대구·부산에서 4곳, 1순위 청약 예정

부동산 정보 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이달 지방에 12개 단지, 총 4701가구가 공급된다. 이 중 일반분양 물량은 4295가구다. 공급이 대부분 부산과 대구에 몰려 있다. 부산이 7곳, 총 2706가구(일반분양 2300가구)로 많다. 대구에서 4곳, 1577가구(일반분양 1577가구)가 분양을 앞두고 있다. 경북은 1곳, 418가구(일반분양 418가구)가 예정돼 있다.
대구 수성구 ‘어나드 범어’
대구 수성구 ‘어나드 범어’
DL건설이 부산진구 부전동에 ‘디 에이션 파크 부산’을 선보인다. 전용면적 84㎡ 세 가지 유형에 총 69가구가 청약에 나선다. 부전역(부산지하철 1호선·동해선)과 서면역(부산지하철 1·2호선)을 이용하기 편하다. 중앙대로, 동서고가로, 거제대로, 황령터널 등 다수의 도로망도 가까워 차량으로 부산역, 동래, 사상, 해운대 등 주요 지역 이동이 쉽다.
부산 부전동 ‘쌍용 더 플래티넘 서면’
부산 부전동 ‘쌍용 더 플래티넘 서면’
해운대구 중동 ‘해운대 경동리인뷰’는 전용 78~116㎡, 총 166가구로 이뤄진다. 부산지하철 2호선 해운대역, 해운대 해수욕장, 해리단길, 구남로 문화광장 등이 가까운 편이다. 인제대 백병원, 홈플러스, 신세계 센텀시티, 해운대 전통시장 등 생활 인프라가 갖춰져 있다.

오는 13일에는 대구 수성구 지산동 ‘더파크 수성못’(전용 84~132㎡, 108가구)과 경북 안동 용상동 ‘트리븐 안동’(전용 84~126㎡, 418가구)의 1순위 청약이 예정돼 있다. 트리븐은 서울 성수동 하이엔드 랜드마크 ‘서울숲 트리마제’를 시공한 두산에너빌리티의 새 아파트 브랜드다.

◇ ‘최고급 단지’도 분양객맞이 나설 듯

교통 인프라, 커뮤니티 시설 등을 내세운 프리미엄 단지가 잇달아 나오는 것도 관심이다. 포스코이앤씨는 이달 대구 수성구 범어동 1 일대(옛 대구MBC 부지)에 하이엔드 단지 ‘어나드 범어’를 선보인다. 지하 6층~지상 33층, 총 5개 동 규모의 복합단지로 조성된다. 이 중 아파트는 4개 동, 604가구(전용 136~244㎡)다. 모든 가구가 대형 주택형인 고급 아파트로 구성된다. 대구 최초로 단지 내 입주민 전용 영화관과 컨시어지 서비스를 도입할 예정이다. ‘엑스코선’으로 불리는 대구지하철 4호선 벤처밸리네거리역(예정·가칭)과 맞닿아 있다. 2호선 범어역도 도보로 접근할 수 있다. 동천초 등과 가깝고 범어역 인근 수성구 학원가도 걸어서 이용할 수 있다.
어나드 범어, 쌍용 더 플래티넘 서면…역세권 '최고급 단지' 관심
쌍용건설은 부산진구 부전동 677 일원에 ‘쌍용 더 플래티넘 서면’을 내놓는다. 지하 5층~지상 48층, 3개 동, 432가구(전용 84㎡)로 조성된다. 오피스텔(지하 1층~지상 39층, 1개 동, 36실)과 근린생활시설 1개 동도 함께 들어선다. 부산지하철 2호선 부암역이 가깝다. 부산 서면 생활권에 속해 인근에 쇼핑·외식·문화 인프라가 다양하다. 범천철도차량정비단 부지 개발 사업(추진 중)의 수혜도 누릴 것으로 전망된다. 부전초와 온종합병원 등 교육·의료 인프라도 이용하기 편하다.

부산 강서구 에코델타시티 공동4블록에는 중흥건설그룹 계열 중흥토건이 ‘에코델타시티 중흥S-클래스 에듀리버’를 공급한다. 지하 2층~지상 최고 18층, 12개 동, 총 728가구(전용 84·112㎡)로 조성된다.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돼 상대적으로 인근 아파트보다 저렴하다. 에코델타시티는 강서구 일대 총 11.7㎢에 인구 약 7만6000명을 수용할 주거지로 탈바꿈하고 있다.

손주형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