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지방자치단체가 청년과 신혼부부를 위한 다양한 주거 지원 사업을 펼치고 있다. 늘어나는 월세 부담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세대와 신혼부부 등의 주거 부담을 덜어줘 지방 소멸을 막겠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 광진구는 최근 긴급 임시 주거 지원 사업인 ‘광진119주택’을 주거 안정이 필요한 청년, 신혼부부, 아동 양육 가구 등으로 확대했다. 거주 기간도 3개월에서 6개월로 연장했다. 임차료는 구가 전액 부담한다. 입주민은 전기, 가스, 수도 등 공과금과 관리비만 내면 된다.
서울 동작구는 지난해 10월 ‘신혼부부 만원주택’ 7가구 입주자를 모집했다. 지난해 4월 청년 만원주택을 모집한 후 내놓은 두 번째 만원주택이다. 19세 이상~39세 이하 무주택 신혼부부와 예비 신혼부부가 대상이다. 7가구 모집에 100명 넘는 지원자가 몰렸다.
인천시와 인천도시공사는 무주택 신혼부부 등을 대상으로 하루 임차료가 1000원(월 3만원)인 ‘천원주택’을 선보였다. 지난달 500가구 모집에 3679명이 몰릴 정도로 관심을 끌었다. 인천시는 다음달 5일 천원주택 입주자를 선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공급을 시작으로 하반기에 500가구를 더 제공할 계획이다. 이를 포함해 2030년까지 총 6000가구를 공급할 방침이다.
전남 화순군은 2023년부터 부영그룹과 함께 청년,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만원 임대주택 사업’을 펼치고 있다. 부영주택이 운영하는 기존 임대아파트를 화순군이 빌려 청년과 신혼부부에게 재임대하는 방식이다. 만원주택을 도입한 뒤 출생아가 늘었고 인구 감소세는 약화했다고 화순군은 평가했다.
지자체가 주거 안정 대책을 내놓는 이유는 청년의 주거 상황이 점차 악화하고 있어서다.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의 ‘다방여지도’에 따르면 지난 2월 서울 지역 전용면적 33㎡ 이하 연립·다세대 원룸의 25개 자치구별 전·월세 수준을 분석한 결과 보증금 1000만원 기준 평균 월세는 67만원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