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홀딩스와 LG화학이 쇳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고 이를 활용하는 기술 개발에 공동으로 나선다.

포스코홀딩스와 LG화학은 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프로젝트에 참여한다고 발표했다. 두 회사는 이번 프로젝트에서 한국화학연구원·경상북도 등을 포함해 CCU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CCU는 이산화탄소를 모아 산업 현장에 유용한 합성가스로 만드는 기술이다.

컨소시엄은 올해 예비타당성 검토를 거쳐 내년부터 포항제철소에서 실증에 착수한다. 포항제철소의 제철 공정 시 발생하는 부생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뒤 포스코는 이를 활용해 일산화탄소와 수소로 이뤄진 합성가스를 생산하는 기술을 실증한다. 이렇게 생산된 합성가스는 지속가능항공유(SAF) 등 화학제품의 원료로 판매하거나 제철 공정에 다시 투입해 쇳물을 제조하기 위한 환원제로 사용한다. 환원제란 철광석처럼 산소와 결합된 금속에서 산소를 떼어내 순수한 금속을 얻을 때 사용하는 물질이다. LG화학은 이번 프로젝트에서 메탄건식개질(DRM) 기술 실증을 담당한다. DRM은 이산화탄소와 메탄을 원료로 일산화탄소 및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이종구 LG화학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이번 협력은 철강과 화학 기업이 함께 탄소중립 시대를 여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탄소 저감 기술에 지속적으로 투자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우섭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