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대기업에서 일하는 이모 과장(35)은 퇴직연금 계좌를 100% 상장지수펀드(ETF)로 운용한다. 미국 나스닥지수 ETF 30%, 샤오미 BYD 등 중국 테크주를 모은 ETF 20%,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방위산업주를 모은 ETF 10%, 일본 엔화 노출 미국 장기채 ETF 10% 등으로 포트폴리오를 짰다. 지난해 그의 퇴직연금 계좌 수익률은 70%에 달했다. 이 과장은 “ETF를 활용하면 다양한 국가의 자산에 간편하게 투자할 수 있다”며 “환매 절차가 복잡한 일반 펀드와 달리 시장 상황에 따라 빠르게 포트폴리오를 교체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라고 말했다.
"테슬라·팰런티어도 ETF로 투자"…2030 베팅에 경이로운 성장

◇미국 인기 기술주에 분산투자

ETF는 주식처럼 쉽게 거래할 수 있는 데다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작아 개인 투자자를 중심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국내 시장에선 코로나19 사태 이후 해외주식형 ETF를 중심으로 급성장했다. 지난 5년간 국내주식형 ETF 설정액은 18조915억원 늘었는데, 해외주식형 ETF에는 그 두 배인 37조835억원이 새로 들어왔다.

과거에는 S&P500, 나스닥,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 등 미국 대표 지수를 추종하는 ETF가 대부분이었지만 최근엔 개별 종목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테마형 상품이 출시돼 선택 폭이 넓어졌다.

예를 들어 한국예탁결제원의 ‘국내 투자자 미국 주식 보관금액 상위 25개 종목’을 보관액에 비례해 편입하는 ‘KODEX 미국서학개미’ ETF는 지난해 수익률 103.67%로 세계 1위를 기록했다. 이 상품은 테슬라 엔비디아 애플 등 대형 기술주뿐만 아니라 양자컴퓨터 업체 아이온큐, 암호화폐 투자기업 마이크로스트래티지, 소형모듈원전(SMR) 업체 뉴스케일파워 등을 담고 있다.

이달 상장한 ‘RISE 팔란티어고정테크100’ ETF는 미국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기업 팰런티어 주식에 25%, 나머지 기술주에 75% 투자한다. 서학개미들이 선호하는 팰런티어 주식 비중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김남기 미래에셋자산운용 ETF부문 대표는 “국내 ETF 시장은 지난 수년간 미국 주식형 ETF를 중심으로 고성장했다”며 “앞으로는 중국 인도 베트남 등 다른 지역 해외 펀드들이 성장을 주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금투자자는 월 배당형 ETF 선호

최근에는 머니마켓 ETF(단기 채권 기반 ETF), 산업 테마 ETF, 자산 배분을 적극적으로 조정하는 액티브 ETF 등으로 상품군이 다양해졌다. 현재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ETF는 총 983개로, 개별 주식 수(962개)를 넘어섰다. 지난해부터는 월세처럼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커버드콜 배당형 ETF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퇴직연금처럼 자산을 안정적으로 운용하길 원하는 투자자가 늘면서다. 작년 2월 상장한 ‘TIGER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액티브’의 순자산은 1조2276억원에 달한다.

테마형 ETF가 난립하면서 거래가 말라버린 ‘좀비 ETF’가 급증한 것은 문제다. 좀비 ETF는 순자산이 50억원 미만이거나 6개월간 하루 평균 거래액이 500만원 미만인 상품이다. 한국거래소는 이런 ETF를 관리종목으로 지정한 뒤 개선되지 않으면 상장폐지에 나서고 있다. 좀비 ETF는 코로나19 이후 우후죽순 출시된 메타버스나 2차전지 테마 상품에 집중돼 있다.

기준지수 등락률을 두 배로 추종하는 레버리지 ETF나 지수와 반대로 움직이는 인버스 ETF에 투자가 지나치게 몰리는 점도 우려스러운 부분이다. 레버리지 ETF는 상승장에서 고수익을 올릴 수 있지만 하락장에선 손실이 눈덩이처럼 커진다.

최만수/맹진규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