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주자들 '퍼주기 공약' 쏟아내면서 … 재원 마련엔 입 닫았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재명, 재정 해법 집권 후 공개
아동수당만 年 수십조 더 드는데
'지출구조 조정·세입 증가로 충당'
공약 재원 조달책 전부 똑같아
김문수, 규제 완화로 세수 증대
소득세 물가연동·기본공제 확대 등
비효율적 재정 구조조정해 마련
이준석 '작은 정부'로 예산 절감
정부 조직 축소해 인건비 줄여
청년 대출 대책은 재원계획 부족대선 후보 3인 '10대 공약' 분석해보니
아동수당만 年 수십조 더 드는데
'지출구조 조정·세입 증가로 충당'
공약 재원 조달책 전부 똑같아
김문수, 규제 완화로 세수 증대
소득세 물가연동·기본공제 확대 등
비효율적 재정 구조조정해 마련
이준석 '작은 정부'로 예산 절감
정부 조직 축소해 인건비 줄여
청년 대출 대책은 재원계획 부족대선 후보 3인 '10대 공약' 분석해보니
주요 대선 후보들이 12일 공개한 10대 공약에 포함된 상당수 대책은 예산을 대규모로 지원하거나 적지 않은 세금을 깎아주는 내용을 담고 있다. 매년 조(兆) 단위 정부 재정이 들어갈 수 있는데도 재원 조달 방안은 지출 구조조정, 예산 재조정 등으로 두루뭉술하게 제시했다. 이런 선심성 공약들이 실제 입안되면 재정 건전성이 크게 훼손될 것으로 우려된다.
◇이재명, 통신비 세액공제 신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12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한 10대 정책 공약엔 대규모 재정 사업들이 포함돼 있다. 아동수당 대상을 현재 만 8세 미만에서 18세까지 점진적으로 상향하는 대책은 주요 정당 대선 공약 중에서도 가장 큰 예산 사업으로 거론된다. 예산정책처는 아동수당을 자녀 수별로 액수를 차등화하고 지급 대상을 18세 미만으로 확대하면 5년간 31조8000원의 재정이 추가로 소요된다고 추정했다.
통신비 세액공제를 신설하는 공약도 재정에 큰 부담을 주는 대책이다. 5년간 줄어드는 세금이 총 7조9000억으로 추산된다. 윤석열 정부에서 두 차례 거부권을 행사한 양곡관리법 개정안도 5년간 7조5000억원의 재정이 추가로 필요한 사업이다.
이 밖에 자영업자 등에 대한 코로나 정책자금 대출 채무조정·탕감, 근로장려금 대상 및 지급액 확대, 권역별 광역급행철도 건설 등도 대규모 재정 사업으로 거론된다. 진성준 선거대책위원회 정책본부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올 하반기 20조원 이상 규모의 2차 추가경정예산 추진 계획도 공개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아동수당 확대와 공익직불금 확대 등은 ‘기본소득’이라는 명칭만 붙지 않았지 기본소득 공약과 취지가 같다”고 지적했다.
이 후보는 선관위에 10대 공약 재원 조달 방안과 관련해 “재정 지출 구조 조정분과 2025~2030년 연간 총수입 증가분 등으로 충당할 것”이라고 밝혔다. 진 본부장은 재원 대책에 대해 “시행 계획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소요 재원 차이가 있어 지금 발표하기 어렵다”며 “집권한 뒤 공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문수, 디딤돌소득 연 10조 필요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가 발표한 10대 공약에도 굵직굵직한 재정 사업이 다수 포함됐다. 이 중 디딤돌소득 도입 정책은 연간 10조원 이상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디딤돌소득은 가구 소득이 기준소득(중위소득 65~85%)을 밑도는 가구에 소득 부족분의 절반을 현금으로 지원하는 정책이다. 소득세 기본공제액 인상과 소득세 물가연동제 도입 방안도 나랏돈이 크게 필요한 사업이다. 연간 세수 증발 규모가 10조원을 웃돌 것으로 추정된다. 김 후보도 대규모 예산사업의 재원 마련 계획에 대해선 비효율적 재정 지출 구조조정, 규제 완화를 통한 세수 증대 등으로 모호하게 밝혔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리쇼어링’(해외 진출 기업의 본국 귀환) 등 일부 공약의 구체적인 재원 계획을 제시했다. 1호 공약으로 내세운 ‘정부 부처 축소’도 예산을 상당폭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청년을 위한 대출 상품인 ‘든든출발자금’ 등 공약은 정부 예산이 크게 들어가는 사업인데도 재원 마련 계획의 구체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았다.
전문가들은 “법상 정부가 의무적으로 써야 하는 의무지출 예산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정부가 구조조정할 수 있는 예산 자체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성장률 둔화 등으로 세수입도 줄고 있다”며 “대선 후보들의 주요 공약이 현실화하면 재정 건전성이 크게 나빠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익환/정영효/강진규 기자 [email protected]
◇이재명, 통신비 세액공제 신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12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한 10대 정책 공약엔 대규모 재정 사업들이 포함돼 있다. 아동수당 대상을 현재 만 8세 미만에서 18세까지 점진적으로 상향하는 대책은 주요 정당 대선 공약 중에서도 가장 큰 예산 사업으로 거론된다. 예산정책처는 아동수당을 자녀 수별로 액수를 차등화하고 지급 대상을 18세 미만으로 확대하면 5년간 31조8000원의 재정이 추가로 소요된다고 추정했다.
통신비 세액공제를 신설하는 공약도 재정에 큰 부담을 주는 대책이다. 5년간 줄어드는 세금이 총 7조9000억으로 추산된다. 윤석열 정부에서 두 차례 거부권을 행사한 양곡관리법 개정안도 5년간 7조5000억원의 재정이 추가로 필요한 사업이다.
이 밖에 자영업자 등에 대한 코로나 정책자금 대출 채무조정·탕감, 근로장려금 대상 및 지급액 확대, 권역별 광역급행철도 건설 등도 대규모 재정 사업으로 거론된다. 진성준 선거대책위원회 정책본부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올 하반기 20조원 이상 규모의 2차 추가경정예산 추진 계획도 공개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아동수당 확대와 공익직불금 확대 등은 ‘기본소득’이라는 명칭만 붙지 않았지 기본소득 공약과 취지가 같다”고 지적했다.
이 후보는 선관위에 10대 공약 재원 조달 방안과 관련해 “재정 지출 구조 조정분과 2025~2030년 연간 총수입 증가분 등으로 충당할 것”이라고 밝혔다. 진 본부장은 재원 대책에 대해 “시행 계획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소요 재원 차이가 있어 지금 발표하기 어렵다”며 “집권한 뒤 공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문수, 디딤돌소득 연 10조 필요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가 발표한 10대 공약에도 굵직굵직한 재정 사업이 다수 포함됐다. 이 중 디딤돌소득 도입 정책은 연간 10조원 이상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디딤돌소득은 가구 소득이 기준소득(중위소득 65~85%)을 밑도는 가구에 소득 부족분의 절반을 현금으로 지원하는 정책이다. 소득세 기본공제액 인상과 소득세 물가연동제 도입 방안도 나랏돈이 크게 필요한 사업이다. 연간 세수 증발 규모가 10조원을 웃돌 것으로 추정된다. 김 후보도 대규모 예산사업의 재원 마련 계획에 대해선 비효율적 재정 지출 구조조정, 규제 완화를 통한 세수 증대 등으로 모호하게 밝혔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리쇼어링’(해외 진출 기업의 본국 귀환) 등 일부 공약의 구체적인 재원 계획을 제시했다. 1호 공약으로 내세운 ‘정부 부처 축소’도 예산을 상당폭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청년을 위한 대출 상품인 ‘든든출발자금’ 등 공약은 정부 예산이 크게 들어가는 사업인데도 재원 마련 계획의 구체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았다.
전문가들은 “법상 정부가 의무적으로 써야 하는 의무지출 예산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정부가 구조조정할 수 있는 예산 자체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성장률 둔화 등으로 세수입도 줄고 있다”며 “대선 후보들의 주요 공약이 현실화하면 재정 건전성이 크게 나빠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익환/정영효/강진규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