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앤비에스 에코 "스크러버 업계의 테슬라 될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업 탐방
박상순 대표, 제2 도약 선언
"中 우시·美 테네시주 법인 설립
올해 사상 최대 실적 도전장"
박상순 대표, 제2 도약 선언
"中 우시·美 테네시주 법인 설립
올해 사상 최대 실적 도전장"

코스닥시장 상장사인 지앤비에스에코의 박상순 대표(사진)는 지난 9일 기자와 만나 “신규 대형 고객사를 유치해 올해 사상 최대 실적에 도전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회사는 반도체·태양광·디스플레이 등 차세대 글로벌 핵심 산업에 적용되는 스크러버를 주력으로 생산한다. 스크러버는 첨단산업 공장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정화해 주는 장치로, 고객사 요구 사항에 따라 맞춤 판매를 한다. 대당 평균 가격은 5000만~6000만원이다.
이 회사는 2014년 세계 최초로 무폐수 스크러버를 개발했다. 대당 연간 2365t의 폐수를 줄일 수 있는 장비다. 또 질소산화물 처리설비를 비롯해 산업 현장에서 나오는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장비를 제조하고 있다. 국내에선 SK하이닉스, 주성엔지니어링 등에 납품 중이다. 인텔과 중국 파운드리(수탁생산) 업체인 SMIC, 인도 타타 등 30여 개 글로벌 대형 기업과 거래하며 미국 중국 말레이시아 등 10개국에 수출한다.
박 대표는 “친환경 공정 장비 기술력을 기반으로 탄탄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보했다”며 “타타와 아다니, 와리 등 인도 태양광 대기업 3곳에서 스크러버 주문이 늘어 올해 매출이 1000억원을 넘어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SK하이닉스 고대역폭메모리(HBM) 성장으로 수혜를 보고 있다”며 “지난달 중국 우시와 미국 테네시주에도 법인을 설립해 관련 매출이 두 자릿수 이상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박 대표는 “반도체 환경규제법으로 대당 평균 출고가가 25억원인 디녹스(질소산화물 처리·저감 장치) 사용처가 늘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판매량이 많아질 것”이라며 “2027년 매출 2000억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회사는 배터리 사업에도 진출할 계획이다. 박 대표는 “2차전지산업이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을 겪고 있지만 대진첨단소재(총 26억원 투자)와 케이이엠텍(50억원 투자)에 전략적 투자를 했다”고 말했다. 괜찮은 매물이 나오면 300억원가량을 배터리 관련 사업에 추가 투자할 방침이다.
안성=윤현주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