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례신사선 표류에 한달 만에 집값 1억 '뚝'…집주인 '분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7년 표류한 교통사업에 고꾸라진 위례 집값
위례과천선 패싱·위례신사선은 무산 우려
주민들 "정부가 분양사기"…집단행동 예고
위례과천선 패싱·위례신사선은 무산 우려
주민들 "정부가 분양사기"…집단행동 예고

2기 신도시인 위례 집값이 교통사업 표류와 맞물려 내리막길을 이어가고 있다. 1조원 넘는 분담금까지 냈지만, 진척을 내지 못하던 위례신사선이 아예 무산될 위기라는 우려에 주민들도 집단행동에 나서기로 했다.
13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송파구와 성남시 수정구, 하남시 학암동이 섞인 위례신도시 집값이 최근 내림세를 보였다.
하남시 학암동 '위례신도시신안인스빌아스트로'는 이달 전용 96㎡가 14억9000만원(21층)에 매각됐다. 직전 거래인 지난달 15억4500만원(10층)에서 한 달도 되지 않아 5500만원 떨어졌다.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 '위례더힐55' 전용 85㎡는 지난달 12억1500만원(6층)에 팔렸다. 지난 3월 13억원(6층)과 비교하면 한 달 만에 1억원이 떨어진 셈이다. 인근 '위례센트럴자이' 전용 51㎡도 한 달 만에 1억원 내린 10억4500만원(1층)에 손바뀜됐다.
일각에선 "집값이 내리더라도 팔리면 다행"이라는 반응도 나온다. 서울 송파구에 속한 위례신도시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으로 인해 대부분 거래가 끊긴 탓이다.

국토교통부가 지난 2월 공개한 노선도에 따르면 위례과천선은 서울 송파구 장지동에 있는 지하철 8호선 복정역을 기점으로 삼았다. 위례 중심지를 경유하기는커녕 위례 밖으로 나가버린 것이다. 창곡동이나 학암동에 속한 위례 주민들이 복정역을 이용하려면 대중교통으로 20분 이상 이동해야만 한다.
위례신사선의 상황은 한층 심각하다. 지난해 우선협상대상자였던 이 사업을 포기한 이후 서울시는 사업 참여자를 구하지 못했고, 결국 민간투자대상사업 지정을 취소하고 재정투자사업으로 전환에 나섰다. 이 과정에서 예비타당성조사(예타)를 받아야 하는데, 주민들은 위례신사선이 예타를 통과하지 못해 무산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불만이 고조되면서 주민들의 집단행동도 예고됐다. 위례신도시 시민연합은 오는 16일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궐기대회를 열고 주무 부처인 국토교통부와 주관처인 서울시 등을 성토할 계획이다. 시민연합은 철도계획 원안 복구와 민자사업 전환에 대한 책임, 광역교통계획 이행을 위한 실질적 행동 등을 끌어내기 위해 행정소송 등의 대응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지역 부동산 업계에서는 주민들의 항의가 장기화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장지동의 한 개업중개사는 "교통망 확충 관련 악재가 워낙 오랫동안 이어진 만큼 집주인의 원성이 높아 단발적인 항의로 그치진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