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U 사와도 돌릴 전력 부족"…서울권 대학들 AI연구 '올스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전 행정 절차 최소 수년…"美·中에 첨단연구 뒤처져"
전력망에 발목잡힌 대학 R&D
공대 내부 전력 배분 받으려 경쟁
일부 연구소들 '전기난민' 신세
'인프라 노후화' 대학 연구 낙후
AI산업 100조 투자 공염불 우려
"국가 에너지 전략에 포함 시켜야"
전력망에 발목잡힌 대학 R&D
공대 내부 전력 배분 받으려 경쟁
일부 연구소들 '전기난민' 신세
'인프라 노후화' 대학 연구 낙후
AI산업 100조 투자 공염불 우려
"국가 에너지 전략에 포함 시켜야"

AI뿐만 아니라 합성생물학, 차세대 에너지, 휴머노이드 로봇 등 미래를 이끌 ‘퓨처 테크’ 대부분이 ‘대학→스타트업→대기업’이라는 경로를 거쳐 산업화 길을 걷는다. 미국이 입증했고, 중국이 모방을 넘어 그들만의 방식으로 발전시키고 있는 성공 방정식이다. 서울대를 비롯해 국내 주요 대학의 전력 부족 문제를 가볍게 볼 일이 아닌 이유다.
◇추가 전력 확보에 혈안인 대학

하지만 서울대는 개선할 방법이 마땅치 않아 속앓이만 하고 있다. 2021년부터 한국전력에 AI·반도체 연구를 위한 데이터센터용 전력 공급을 요청했지만, 인근 전력 설비 부족으로 사실상 거절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8월에도 10㎿ 규모 전기 수요를 반영한 ‘수전예정통지’를 한전에 보냈다. 공대 관계자는 “한전 측에선 전력계통영향평가를 신청해야 검토해 보겠다고 하는데 행정 절차에 수억원의 비용이 드는 데다 결과가 나오려면 최소 5년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돼 계통영향평가 신청을 보류한 상태”라고 말했다. 연세대 관계자는 “‘추가 전력 신청만 해도 최소 몇 년은 걸린다’는 인식이 퍼져 있다”며 “전력 인프라가 첨단 연구개발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구조”라고 꼬집었다.

◇대학 R&D가 ‘퓨처테크’의 원천
그동안 한국의 R&D 시스템은 기업과 정부출연연구소에 편중됐다. 기술 추격형 모델에 적합한 데다 전력 인프라가 취약한 서울 도심에서 대규모 연구를 수행하기 어렵다는 현실적 이유를 감안한 방식이다. 대학은 상대적으로 전기를 적게 소비하는 기초 연구에 집중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기업과 대학의 연계는 느슨해졌다. 대학 쪽에선 “삼성이 국내 대학에 기부는 해도 R&D 협력은 안 한 지 오래”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 주요 기업이 스탠퍼드대, MIT 등 미국 유수 대학들과 공동 연구를 강화하는 이유다. 한 대학 AI센터 관계자는 “GPU를 사도 못 돌리는 곳에 누가 투자하겠냐”며 “연구 인프라 경쟁에서 한국은 사실상 탈락 직전”이라고 지적했다. 대학의 혁신 역량을 살리지 못하면 ‘AI 100조원 투자’도 공염불이 될 것이란 얘기다.
일각에선 AI 등 첨단산업 분야에서 대학 R&D를 통합해 수도권 외곽으로 이전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장길수 고려대 공대 학장은 “지방에 AI 연구용 거점을 만드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며 “단기 처방이나 기관별 자구책을 넘어 교육·과학 부문의 전력 수급을 국가 에너지 전략안에 포함하는 근본적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지방으로 R&D를 옮길 경우 해외 인재 유치 정책과 모순될 것이란 반론도 만만치 않다.
안정훈/최영총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