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스1
사진=뉴스1
국민의힘 내에서 대선후보 재선출 후폭풍이 거세지고 있다. 지도부가 10일 기자회견에서 "친한계(친 한동훈계) 일부 의원들만 반발한다"며 당내 갈등을 일축했지만 친한계뿐만 아니라 다수 의원도 공개 비판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이날 오전 국민의힘 친한계 의원들뿐만 아니라 강민국·나경원·안철수·윤상현·조은희·권영진·임종득·장동혁·서명옥 의원 등 다수 의원들이 '22대 국회' 텔레그램 단체 대화방에서 지도부의 김문수 대선 후보 교체 강행에 대해 우려를 표하며 "지도부는 마지막 노력을 다하라"며 공개 성토에 나섰다.

이날 강민국 의원은 "무엇을 위한 단일화인가. 이재명 치하에서 살 수 없다는 절박감 때문 아닌가"라며 "오늘 오후라도 두 후보를 직접 찾아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나경원 의원 역시 김 후보가 요구한 '역선택 방지 조항 없는 100% 여론조사 방식'에 대해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나 의원은 "202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 때도 채택한 방식"이라며 "그때는 국민의 뜻을 더 들어야 한다는 이유였는데, 지금은 왜 자격 박탈 사유가 되는가"라고 따졌다.

임종득, 권영진 의원은 여론조사 문항을 절충한 방식으로 단일화 재논의가 가능하다는 점을 들며 "지도부가 재선출 절차 돌입 전에 마지막 노력을 다하라"고 요청했다.

이날 이양수 사무총장이 대선후보 교체를 옹호하는 한 정치평론가 글을 공유하자 친한계 의원들 반발이 이어졌다. 배현진 의원은 "이 글을 올린 취지는 납득이 안 된다"며 "쪽팔림은 12월 한 번으로 족하다"고 강하게 비판하는 의견도 나왔다.

박정훈 의원 역시 "공천장 발급도 하지 않았고 대표 직인도 없는데 무슨 수로 김문수 후보가 후보 등록을 10일에 한다는 것"이냐며 "후보 등록 강행하려 했다는 주장을 누가 납득하겠나"고 따져 물었다.

한 초선 의원은 "이번 강제 단일화에 반대한다는 의사 표시로 전날 의원총회에 표결 없이 나왔다"며 "표결에 참석했으면 의결 정족수만 늘리고 반대는 적었다고 얘기할 구실이 됐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양현주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