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연합뉴스
집값 상승기 서둘러 내 집 마련에 나섰던 '영끌족(영혼까지 끌어모아 집을 산 사람)'들이 줄줄이 백기를 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1~4월 기준 전국 부동산(집합건물·토지·건물) 임의경매 개시 결정 등기 신청은 총 1만8563건으로 집계됐다. 전년 같은 기간(1만4564건)과 비교하면 27.5%, 2023년 같은 기간(1만104건)과 비교하면 83.7% 급증한 수치다.

임의경매는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부동산을 담보로 돈을 빌린 채무자가 원금이나 이자를 석 달 이상 갚지 못했을 때 대출금 회수를 위해 부동산을 경매에 넘기는 절차다.

특히 아파트·오피스텔 등 집합건물 임의경매 신청이 1~4월 7726건으로 전체의 41.6%를 차지했다. 전년 같은 기간 5947건에 비해 29.9% 늘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2102건으로 전체의 27.2%를 차지했다. 이어 서울이 788건으로 10.2%, 부산이 778건으로 10.1%, 인천이 662건으로 8.6% 순이었다.

이는 저금리 시절 일명 '영끌'로 집을 샀다가 대출 이자나 원금을 갚지 못한 집주인이 늘어났다는 의미다. 2020년 연 2%대 고정금리로 이뤄진 혼합형 주택담보대출이 5년 고정금리 기간을 마치고 변동금리로 전환된 결과로 풀이된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국내 4대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6개월)는 연 4.07~5.59%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금리에서 변동금리로 전환되며 이자가 두 배 이상 늘어난 셈이다. 더군다나 과거에는 차주의 소득을 고려해 대출을 제한하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없었기에, 이미 영끌에 나선 이들이 불어난 이자를 감당하기도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통상 금리가 낮으면 임의경매는 줄고, 반대로 금리가 높으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며 "현재 기준금리가 높은 만큼 당분간 임의경매 증가세가 지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