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의 배수진 "단일화 안되면 후보 등록 않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협상 데드라인 11일로 못박아단일화 회동 앞두고 기자회견
시한 넘기면 '기호 2번' 못 써
"정치적 줄다리기, 국민에 고통"
金측, 전대 개최 중단 가처분 신청
국힘 지도부와 신경전 계속
韓·金, 1대 1 협상 나섰지만
방식 두고 격렬한 논의 이어져
시한 넘기면 '기호 2번' 못 써
"정치적 줄다리기, 국민에 고통"
金측, 전대 개최 중단 가처분 신청
국힘 지도부와 신경전 계속
韓·金, 1대 1 협상 나섰지만
방식 두고 격렬한 논의 이어져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가 7일 만나 후보 단일화 문제와 관련한 의견을 주고받았다. 회동에 앞서 한 후보는 “단일화가 이뤄지지 않으면 대선 본선 후보 등록을 하지 않겠다”며 ‘배수진’을 쳤다. 국민의힘 지도부와 마찬가지로 후보자 등록 마감일인 11일을 단일화 데드라인으로 명시한 것이다.
김 후보와 한 후보는 이날 오후 6시 서울 종로구 한 식당에서 첫 회동을 했다. 지난 5일 서울 조계사에서 한 후보가 김 후보에게 만남을 제안한 지 이틀 만이다. 이날 회동은 김 후보 측이 전날 “단일화와 관련해 더 이상의 불필요한 논쟁은 없어야 한다”며 한 후보 측에 제안해 성사됐다. 후보 단일화 시한과 방식을 놓고 당 안팎의 진통이 계속되면서 양측이 벼랑 끝 협상에 나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날 회동에 앞서 한 후보는 11일까지 단일화에 실패하면 대선에 출마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한 후보는 서울 여의도 맨하탄21 빌딩 선거 캠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치적 줄다리기는 국민에 고통만 준다”며 “단일화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대선 본후보 등록을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단일화 최종 데드라인으로 꼽히는 투표용지 인쇄일(25일)까지 논의를 끌지 않겠다는 것이다. 한 후보는 또 김 후보와의 단일화 방식과 관련해 “여론조사든 TV 토론이든 공정하고 적법한 절차에 따라 이뤄진다면 아무런 불만 없이 임하고 결과에 승복하겠다”며 “모든 결정을 국민의힘에 일임했고, 바로 실행하시면 된다”고 강조했다.
한 후보가 ‘11일까지 단일화’라는 강수를 둔 것은 협상이 11일을 넘기면 한 후보로 단일화가 결정되더라도 ‘기호 2번’을 사용할 수 없다는 점이 고려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무소속 후보는 당의 선거 유세와 비용 지원을 받을 수 없다는 현실적 여건도 한 후보 결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일각에서는 “한 후보가 진작 당내 경선에 출마해 당 대선 후보 자격을 얻었으면 불필요한 잡음이 없었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이와 관련해 한 후보는 이날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서울외신기자클럽 초청 기자간담회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문제 등에 대한 대응 방향성도 잡지 못한 상태에서 대통령 권한대행직을 내려놓고 정치에 발을 디딘다는 것은 굉장한 어려움이 있었다”고 해명했다.
이날 국민의힘은 김 후보 측 반대에도 불구하고 모든 당원을 대상으로 대상 단일화 찬반과 시기를 묻는 자동응답조사(ARS) 방식의 여론조사를 강행했다. 전날 밤 김 후보가 입장문을 내고 “당의 화합을 해치는 행위”라며 중단을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여론조사 결과를 토대로 이날 회동 결과와 무관하게 김 후보를 겨냥해 단일화를 압박하기 위한 포석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국민의힘 지도부가 8~9일 전국위원회를, 10~11일 전당대회를 소집하는 공고를 낸 것과 관련한 갈등도 이어지고 있다. 당 지도부가 일찌감치 후보 교체를 염두에 두고 있다는 김 후보 측 우려가 제기되면서다. 이를 두고 김 후보를 지지하는 국민의힘 원외 당협위원장은 서울남부지방법원에 전국위와 전당대회 개최 중단을 요구하는 가처분 신청을 냈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후보 단일화를 이루더라도 등록하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예방적 차원에서 의결해 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상원/강진규/하지은 기자 [email protected]
김 후보와 한 후보는 이날 오후 6시 서울 종로구 한 식당에서 첫 회동을 했다. 지난 5일 서울 조계사에서 한 후보가 김 후보에게 만남을 제안한 지 이틀 만이다. 이날 회동은 김 후보 측이 전날 “단일화와 관련해 더 이상의 불필요한 논쟁은 없어야 한다”며 한 후보 측에 제안해 성사됐다. 후보 단일화 시한과 방식을 놓고 당 안팎의 진통이 계속되면서 양측이 벼랑 끝 협상에 나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날 회동에 앞서 한 후보는 11일까지 단일화에 실패하면 대선에 출마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한 후보는 서울 여의도 맨하탄21 빌딩 선거 캠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치적 줄다리기는 국민에 고통만 준다”며 “단일화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대선 본후보 등록을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단일화 최종 데드라인으로 꼽히는 투표용지 인쇄일(25일)까지 논의를 끌지 않겠다는 것이다. 한 후보는 또 김 후보와의 단일화 방식과 관련해 “여론조사든 TV 토론이든 공정하고 적법한 절차에 따라 이뤄진다면 아무런 불만 없이 임하고 결과에 승복하겠다”며 “모든 결정을 국민의힘에 일임했고, 바로 실행하시면 된다”고 강조했다.
한 후보가 ‘11일까지 단일화’라는 강수를 둔 것은 협상이 11일을 넘기면 한 후보로 단일화가 결정되더라도 ‘기호 2번’을 사용할 수 없다는 점이 고려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무소속 후보는 당의 선거 유세와 비용 지원을 받을 수 없다는 현실적 여건도 한 후보 결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일각에서는 “한 후보가 진작 당내 경선에 출마해 당 대선 후보 자격을 얻었으면 불필요한 잡음이 없었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이와 관련해 한 후보는 이날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서울외신기자클럽 초청 기자간담회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문제 등에 대한 대응 방향성도 잡지 못한 상태에서 대통령 권한대행직을 내려놓고 정치에 발을 디딘다는 것은 굉장한 어려움이 있었다”고 해명했다.
이날 국민의힘은 김 후보 측 반대에도 불구하고 모든 당원을 대상으로 대상 단일화 찬반과 시기를 묻는 자동응답조사(ARS) 방식의 여론조사를 강행했다. 전날 밤 김 후보가 입장문을 내고 “당의 화합을 해치는 행위”라며 중단을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여론조사 결과를 토대로 이날 회동 결과와 무관하게 김 후보를 겨냥해 단일화를 압박하기 위한 포석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국민의힘 지도부가 8~9일 전국위원회를, 10~11일 전당대회를 소집하는 공고를 낸 것과 관련한 갈등도 이어지고 있다. 당 지도부가 일찌감치 후보 교체를 염두에 두고 있다는 김 후보 측 우려가 제기되면서다. 이를 두고 김 후보를 지지하는 국민의힘 원외 당협위원장은 서울남부지방법원에 전국위와 전당대회 개최 중단을 요구하는 가처분 신청을 냈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후보 단일화를 이루더라도 등록하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예방적 차원에서 의결해 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상원/강진규/하지은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