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텃밭 방문한 이재명 "농촌기본소득 '퍼주기' 아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역화폐로 1인당 15~20만원씩 지원"
"다 국민이 낸 세금 돌려주는 것"
"다 국민이 낸 세금 돌려주는 것"

이 후보는 이날 오전 전북 진안군 새참거리 시장에서 "'농촌기본소득 실현' 이런 현수막 들고 다니시는데 그리 어려운 게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지역화폐로 1인당 월 15만~20만원을 지원해주면 갈치조림집, 식당 등 다 장사가 잘될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후보는 "균형발전하고 특별한 희생 하거나 특별한 어려움 겪는 지역에는 특별한 지원을 통해 균형을 맞춰 함께 살게 하는 것 이게 정치가 할 일"이라며 "그중 한 방법이 정부가 예산 지원할 때 어려운 지역에 더 많은 지원하는 것"이라고 했다.
전 국민에게 똑같이 나눠주는 보편 복지 모델인 기본소득이 '퍼주기 정책'이란 논란을 의식한 듯 이 후보는 "퍼주기는 뭘 퍼주나. 다 국민이 낸 세금"이라고 되물었다. 그는 국민의힘을 겨냥해 "도둑질하고, 훔쳐먹고, 해외 원조하고 이런 데에는 돈을 많이 쓰면서 국민에게 돈을 돌려주는 것은 왜 그렇게 아까워하나"라고 반문했다.
이 후보는 "진안군 예산이 약 6500억원, 인구 2만5000명 수준이라면 1인당 약 250만원이 돌아가는 구조"라며 “이 중 일부만 지역화폐로 농촌기본소득에 쓰더라도 인구 유입과 지역 경제 활성화 효과를 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경기지사 시절 경기 연천 청산면에서 추진했던 농촌기복소득 사업을 언급하며 "도비 전액으로 월 15만원씩 지급했더니 미용실이 생기고, 인구가 늘었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연천군의 기본소득 실험은 일시적으로 지역 상권 매출이 증가하는 긍정적인 결과가 없진 않았지만, 인구 유인 효과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산면의 인구는 시범 사업 첫해인 2022년 말 4217명으로 직전년도 대비 322명이 늘었다가 사업 2년 차인 2023년 12월에는 4176명으로 소폭 감소했다. 3년 차인 작년 12월에는 4068명으로 2년 연속 인구가 줄었다.

이날 일정에는 정은경 전 질병관리청장, 안호영·이원택·한준호 의원 등이 함께하며 지역민들과의 접점을 넓혔다. 정 전 청장은 "내란을 종식하고 일 잘하는 지도자를 선택하자"고 말했고, 이원택 의원은 "잼버리 사태로 상처 입은 전북의 자존심을 회복하려면 정권을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해련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