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초 1만여 가구이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와 부동산 시장 침체 여파로 2009년 5월 5만4141가구로 불어났다. 시행사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은 연대 보증을 선 건설사의 유동성 위기로 불거졌다. 100대 건설사 중 24곳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밟았다.

지난 3월 기준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2만5117가구)이 11년7개월 만에 최다를 기록했다. 건설업계에서 최근 상황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와 닮았다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정부와 업계는 기업구조조정촉진법을 활용해 선제적 구조조정에 나섰다. 2009~2010년 채권단 신용위험 평가를 통해 C등급 건설사 33곳은 채무 상환 조건 조정과 신규 자금 지원을 핵심으로 하는 워크아웃을 진행했다. D등급 12곳은 기업회생절차를 밟거나 퇴출됐다. PF 부실 채권을 사들이는 민간 배드뱅크도 설립했다.

금융당국이 건설사 재무 상태를 분석해 지원할 곳과 회생절차로 관리할 곳을 선별해야 한다는 지적이 힘을 얻는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중견 건설사 태반이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다”며 “정부 차원에서 선제적 구조조정에 나서지 않으면 건설업 기반이 붕괴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임근호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