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아파트단지 내 부동산중개업소에 불이 꺼져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의 한 아파트단지 내 부동산중개업소에 불이 꺼져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민 자격증으로 인기를 끌었던 공인중개사가 부동산 침체 장기화로 외면받고 있다.

22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신규 개업한 공인중개사 수는 924명으로 집계됐다. 3월 개업자 수가 1000명 아래로 떨어진 것은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15년 이후 처음이다.

통상 3월은 봄철 이사 철을 노리고 신규 개업에 나서는 공인중개사가 늘어나는 시기이지만, 부동산 시장 한파가 계속되면서 개업을 선택하는 공인중개사는 점차 줄어들고 있다. 1분기 누적으로도 신규 개업한 공인중개사는 2720명에 그쳐 3000명 선이 처음 붕괴했다.

개업이 줄고 폐업은 늘면서 전체 개업 공인중개사도 줄어드는 추세다. 지난달 기준 전체 개업 중개사는 11만1613명으로, 2023년 2월 이후 25개월 연속 감소했다.

공인중개사 시험 응시자 수도 지난해 15만4669명에 그쳤다. 응시자 수가 20만명 미만으로 떨어진 것은 2017년 이후 처음이다. 공인중개사 시험 응시자 수는 △2017년 20만5197명 △2018년 21만8614명 △2019년 20만3695명 △2020년 22만6888명 △2021년 27만8847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이후 △2022년 26만4394명 △2023년 20만59명 △2024년 15만4669명으로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

공인중개사 감소의 가장 큰 원인은 부동산 시장 불황이다. 지난해 부동산 거래량은 100만6019건으로 전년 110만2854건 대비 8.8% 줄었다. 이는 국토교통부가 실거래가 공개를 시작한 2006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공인중개사협회 관계자는 "고금리와 대출 규제가 여전하고 경기 침체까지 겹치면서 전반적인 거래가 줄었다"며 "임대차 시장도 공급 물량이 적기에 개업에 나서는 중개사가 줄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사무실이 나가지 않아 어쩔 수 없이 버티는 분도 많다"고 덧붙였다. 이미 개업한 공인중개사는 폐업도 어려운 처지라는 의미다.

실제로 지난해 12월 폐업한 중개사는 1472명에 달했지만, 올해는 △1월 852명 △2월 956명 △3월 1028명 수준에 그쳤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