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은 2023년 기준 전국 주택 보급률이 102.5%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0.4%포인트 상승했다. 2019년 이후 4년 만의 반등이다. 주택 보급률이 100%를 넘었으니 공급이 충분한 걸까. 그렇게 말하기는 어렵다. 지역마다 편차가 있고, 주택 보급률 통계에 외국인 가구 등이 빠지는 맹점이 있기 때문이다.
주택 보급률 102.5%로 반등했다지만…
통계청에 따르면 주택 보급률은 2019년 104.8%를 정점으로 2022년까지 3년 연속 하락하다가 2023년 소폭 반등했다. 지역별로는 경북(113.1%), 전남(112.6%), 충남(111.7%) 순으로 높았다. 서울(93.6%), 대전(96.4%), 인천(99.1%), 경기(99.3%) 등 수도권과 대전은 100을 밑돌았다.2019년만 해도 전국에서 주택 보급률이 100% 아래인 곳은 서울뿐이었는데 주택 부족 지역이 확대된 것이다. 가장 큰 원인은 1인 가구 증가다. 서울 인구는 2015년 1002만2000명에서 2023년 938만6000명으로 6.3%(63만6000명) 줄었는데, 같은 기간 가구 수는 378만여 가구에서 414만여 가구로 9.5% 늘었다. 특히 1인 가구는 112만여 가구에서 162만여 가구로 44.6% 급증했다.
주택 수요는 단순한 인구보다는 가구 수에 더 민감하다.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가구 수가 늘고 있는데 주택 공급이 이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다.

또 주택 보급률이 100%를 넘는다고 하더라도 '주택의 질'까지 담보된 수치는 아니다. 노후화된 주택이 늘어나면 더 넓고 쾌적한 곳으로 이사하려는 수요는 늘어나기 마련이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인구 1000명당 주택 수'를 기준으로 삼는 게 좋다고 조언한다. 2023년 기준 우리나라의 인구 1000명당 주택 수는 437가구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하위권이다.
경북(509.6가구)과 전남(502.6가구)은 상대적으로 인구 1000명당 주택 수가 많은 편이다. 반면 경기(395.5가구), 인천(406.8가구), 서울(413.3가구) 등 수도권은 상대적으로 적다.
소득 대비 임대료는 15.8% 수준
2023년 기준 월 소득에서 월세 등 주택임대료로 지출하는 비율(RIR·월소득 대비 주택 임대료 비율)은 15.8%로 분석됐다. 2022년에 비해 0.2%포인트 하락했다. 다만 수도권은 2022년 18.3%에서 2023년 20.3%로 상승했다. 광역시도 같은 기간 15.0%에서 15.3%로 비율이 상승해 주거 부담이 늘었다.
주거 환경도 일부 개선됐다.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 비중은 3.6%로 전년보다 0.3%포인트 감소했다. 이 비중은 2018년 이후 지속해서 줄어드는 추세다. 1인당 주거 면적은 31.4㎡로 전년(30.9㎡)보다 0.5㎡ 증가했다.
안정락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