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가 띄운 북극항로…"준비 필요" vs "비현실적"
입력
수정
지면A6
세계 1위 해운사 "이용 안할 것"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2030년대 북극해 항로 개척’ 공약을 놓고 현실 가능성에 대해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글로벌 1위 해운사인 스위스 MSC도 환경오염과 비용을 이유로 북극항로를 이용하지 않겠다고 공언한 만큼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게 해운업계의 중론이다. 하지만 미래 먹거리를 위해 지금부터 준비해야 한다는 반론도 제기된다.
업계 일각 "미래 먹거리 선점을"
해운사 원가의 20%가량을 차지하는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운항 일수도 줄어들기 때문에 선박을 다른 항로에 투입할 수 있다. 해운사들이 북극항로를 쓰기 위해 부산항을 거점 항구로 삼으면 입항료와 보관료 수입이 늘어나고 선박유 공급, 수리 조선 등으로 이익을 더 낼 수 있다. 이 후보는 지난 14일 부산 유세에서 “HMM 본사를 부산으로 옮기고 해운회사를 키우는 등 북극항로 시대를 준비하겠다”며 “러시아와의 관계를 잘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런 장점에도 MSC를 비롯해 3위 프랑스 CMA-CGM, 5위 독일 하팍로이드 등은 수년 전부터 북극항로를 이용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HMM도 “북극항로는 준비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환경보호를 표면에 내세웠지만 비용이 만만치 않다는 점도 북극항로를 꺼리는 이유다. 러시아를 제외하면 각국이 보유한 쇄빙선이 거의 없어 이용료가 비싸다. 러시아 쇄빙선업체는 수에즈운하를 지나갈 때 드는 유류비와 통항료 등을 계산해 이보다 조금 저렴하게 비용을 제시한다.
그럼에도 북극항로를 개척해야 해상 무역의 주도권을 쥘 수 있다는 반대 시각도 있다. 부산항 입지가 강화하면 다른 국가보다 약한 한국의 해운업도 진흥할 것이란 분석이다. 또 조선(쇄빙선 건조), 위성(항해 기술) 등 관련 산업도 동반 성장할 것이란 주장도 나온다.
김형규 기자 khk@wvnryckg.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