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양천구 신월동에 위치한 빗물터널 내부의 모습. 오유림 기자
서울 양천구 신월동에 위치한 빗물터널 내부의 모습. 오유림 기자
서울시가 다가오는 여름 집중호우에 대비해 저지대, 반지하 주택, 하천변 등 재해우려지역에 대한 전방위적인 대응체계를 본격 가동한다.

시는 12일 오세훈 시장 주재로 열린 ‘2025년 풍수해 안전대책 추진현황 보고회’에서 올해 풍수해 대응 방안을 발표하고, 오는 15일부터 10월까지 ‘풍수해 재난안전대책본부’를 24시간 가동한다고 밝혔다. 폭우 등 급변하는 기상에 실시간 대응하는 선제 체계를 구축한다는 전략이다.

핵심은 ‘침수위험 저지대 집중관리’다. 시는 지하차도 98개소, 반지하 주택 밀집 지역, 하천 산책로 등 저지대를 집중관리 대상으로 지정했다. 특히 관악·동작·영등포구 등 15개 골목에는 전국 첫 ‘반지하 침수경보시설’이 시범 도입된다. 기존 수위계가 설치되기 어려운 좁은 공간에도 레이더 센서를 부착해 실시간으로 수위를 감지하고, 위험 수위가 되면 경보가 울린다.

특히 하천 산책로가 집중 관리된다. 하천 진입로에 진출입 차단 시설과 자동경보기가 설치돼 폭우 예비특보 단계부터 접근이 차단된다. 산사태 취약지역 492곳은 산림청 예측정보를 토대로 2~48시간 전부터 예·경보가 내려지고, 92명의 산사태 예방단과 약 400명의 현장관리 인력(통·반장 포함)이 즉시 투입된다.

침수 위험이 감지되면 자치구별로는 시민에게 즉시 예·경보 재난문자를 송출한다. 반지하 가구에는 ‘동행파트너’가 투입돼 장애인·노인·아동 등의 안전을 방문 점검하고 대피를 돕는다. 올해는 재해 약자로 분류된 총 1130가구에 2887명의 동행파트너가 매칭됐다는 설명이다.

또 빗물 분산을 위한 저류 인프라도 확충된다. 서울시는 기존 서울대공원(청계저수지), 서울숲 등 7곳의 ‘빗물그릇(자연형 저류지)’에 더해 올해 서서울공원, 송파나루공원 등 5곳을 추가해 총 12곳으로 늘린다.

이렇게 되면 저장 가능한 빗물은 최대 75만7000톤이 된다. 이는 서울 신월동에 설치된 대심도 배수터널(32만 톤)의 2.4배에 달하는 규모다. 서울시 관계자는 "빗물이 한꺼번에 하천으로 쏠리는 현상을 막아 수위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를 낸다"고 했다.

중장기적으로는 대규모 방재 인프라 확충에도 나선다. 올해 강남역·도림천·광화문 일대에 ‘대심도 빗물배수터널’을 새로 착공하고, 2030년까지 총 9개의 빗물펌프장과 3개의 빗물저류조도 순차적으로 신·증설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 관계자는 "이미 시내 빗물받이 55만 개소, 하수관로 1625㎞, 하천 준설 10만 톤을 완료했다"며 "맨홀 추락 방지 시설도 추가로 2만3325개 설치해 여름철 침수와 사고 위험 요인을 사전에 제거하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오유림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