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돈 대신 주면 더 좋아하겠네"…손주들 '깜짝' 놀랄 선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은행들 5월 '가정의 달' 맞아
고금리 적금상품 잇달아 출시
우리은행 '내리사랑적금' 최고금리 연 8%
고금리 적금상품 잇달아 출시
우리은행 '내리사랑적금' 최고금리 연 8%

10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전국 은행에서 판매 중인 16개 적금의 평균 최고금리는 연 3.36%로 집계됐다. 은행이 제시하는 각종 조건을 충족해야 받는 우대금리를 최대한 확보하더라도 기준금리(연 2.75%)보다 0.61%포인트 높은 수준에 그친다. 기본금리만 따지면 기준금리를 밑도는 적금만 9개에 달한다. 저축은행에서조차 고금리 적금이 모습을 감추는 추세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정기적금(12개월) 평균금리는 연 3.41%에 불과하다.
금리상품이 투자 매력을 상실하자 은행에 머무르던 자금이 차츰 이탈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은행의 총수신(원화)규모는 2069조3048억원으로 전월 말보다 5조1866억원 줄어들었다. 정기 예적금 증가액이 1조원 수준에 그친데다 요구불예금(저축성예금 포함 629조4038억원)이 20조7203억원 급감한 영향이 컸다. 지난해 7월(29조1395억원) 이후 월간 기준으로 가장 많은 자금이 요구불예금에서 빠져나갔다.
이 같은 상황에 최근 특판으로 나온 고금리 상품이 주목받고 있다. 우리은행이 지난 2일 10만좌 한도로 판매를 시작한 ‘내리사랑적금’은 최고금리가 연 8%다. 우리은행 계좌로 급여나 연금을 수령 중인 만 50세 이상 고객이 앱 ‘우리WON뱅킹’을 통해 받은 가입코드를 만 29세 이하 자녀나 손주에게 전하면, 이를 받은 자녀 세대가 해당상품에 가입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1년 만기 상품으로 납입한도는 월 30만원이다. 기본금리는 연 2%로 △우리은행 계좌에서 자동이체(연 4%포인트) △비대면 가입(연 1%포인트) △우리은행 예·적금 상품 미보유(연 1%p) 등의 조건을 충족하면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다.
부산은행이 지난달 말 내놓은 ‘아이사랑 적금’은 최고 연 7%의 금리를 제공한다. 기본금리는 연 1.9%로 △만 10세 이하 자녀가 있으면 연 2%포인트 △부산은행에서 주택담보대출이나 전세자금대출을 받고 있으면 연 1%포인트 △부산은행 입출금예금이 있다면 평균잔액에 따라 최대 연 2%포인트의 우대금리가 붙는다. 납입한도는 월 30만원이며 만기는 12~36개월로 나눠져있다.
정기적인 소득이 있는 사람이라면 최고 연 7%의 금리를 주는 신한은행의 ‘모두의 적금’ 가입도 고려할만하다. 기본금리는 12개월 만기 기준 연 2.5%가 적용된다. 신한은행 계좌로 3개월 이상 급여나 공적연금을 수령하면 연 1.5%포인트의 우대금리가 얹어진다. 신한은행 계좌로 신한카드 결제실적을 3개월 이상 보유하는 등 추가조건을 충족하면 우대금리를 더 받을 수 있다. 납입한도는 월 30만원이다.
김진성 기자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