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에 백화점 점포 문닫고 해외 개척하더니…이익은 늘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해외사업 날개단 롯데쇼핑
1분기 영업이익 29% 늘어
비용 절감 노력도 한몫
"해외 확장·국내 점포 재단장"
1분기 영업이익 29% 늘어
비용 절감 노력도 한몫
"해외 확장·국내 점포 재단장"

롯데쇼핑은 연결기준 1분기 영업이익이 148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9%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9일 공시했다. 매출은 3조4568억원으로 1.6% 감소했으며 순이익은 181억원으로 75.1% 줄었다.
사업 부문별 실적을 보면 백화점 매출은 8063억원으로 1.1% 감소했다. 지난해 마산점 폐점 등이 반영됐다. 본점과 잠실점 등 주요 점포의 재단장 효과와 팝업스토어(임시매장) 운영을 통한 고객 유치로 국내 기존 점포 매출은 1% 늘었다.
그러나 백화점 부문 영업이익은 비용 효율화 덕에 44.3% 증가한 1300억원을 기록했다. 이번 1분기 백화점 실적은 해외 사업이 견인했다. 지난 2023년 9월 전면 개장한 롯데몰 웨스트레이크 하노이 매출이 21.9% 늘고 영업이익이 6개 분기 만에 흑자 전환하는 등 해외 점포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실적 흐름을 나타냈다. 해외 백화점 사업 전체로도 매출이 6.2% 증가했고 영업이익도 흑자를 달성했다.
마트는 매출이 1조4873억원으로 0.3% 늘었고 영업이익은 281억원으로 34.8% 감소했다. 슈퍼의 매출은 3052억원, 영업이익은 32억원으로 각각 7.2%, 73.3% 줄었다. 마트와 슈퍼는 소비 침체의 여파를 가장 크게 받은 사업부로 꼽힌다. 여기에 'e그로서리'(온라인 식료품 사업) 이관에 따른 손실(-109억원)과 통상임금 관련 비용도 들었다.
이커머스(전자상거래) 사업 부문인 롯데온은 거래액이 12% 늘었으나 상품 구조 정비 등의 영향으로 매출은 5.0% 감소한 283억원에 그쳤다. 영업이익은 상품 순이익 개선과 비용 효율화 등의 성과에 힘입어 손실액이 224억원에서 86억원으로 크게 줄었다.
롯데쇼핑은 1분기 호실적의 여세를 몰아 올해 내내 수익 개선 작업에 집중할 방침이다. 백화점은 올해 본점과 잠실점 등과 같은 핵심 점포를 대규모로 재단장해 상권 내 확고한 경쟁력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또 미래 성장 동력인 해외 사업에서는 그룹사 복합 단지로 개발할 수 있는 최적의 부지를 추가 확보할 방침이다.
마트와 슈퍼는 신선식품 품질 혁신을 핵심 전략으로 삼아 국내 대표 '그로서리'(식료품) 채널로 도약하는 계획과 해외 사업을 확장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는 복안을 세웠다. 이커머스 사업부는 패션·뷰티를 중심으로 커머스 역량을 강화하면서 그룹의 온오프라인 채널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게이트웨이'(관문) 역할에 집중한다.
김원재 롯데쇼핑 재무본부장은 "동남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해외 사업을 안정적으로 확장하고 국내 주요 점포의 재단장과 신규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고객의 첫 번째 쇼핑 목적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