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주도 무탄소 캠페인에 美 빅테크 참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애플·구글 가입한 CEBA와 협약
애플 구글 등 빅테크가 가입한 미국 청정에너지 수요기업 연합체가 한국이 주도하는 무탄소에너지(CFE) 이니셔티브에 참여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6일 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힐튼호텔에서 한국 무탄소에너지 수요기업 단체인 무탄소(CF)연합과 미국 청정에너지구매자연합(CEBA)이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CFE 이니셔티브는 재생에너지를 100% 활용하는 ‘RE100’으론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이 어려운 만큼 원자력발전, 탄소포집저장(CCS) 등 무탄소에너지 전반을 폭넓게 활용하자는 개념으로 한국이 주창하고 있다.
CEBA는 이번 협약을 통해 미국 민간 부문을 대표해 CF연합이 가동하는 ‘CFE 글로벌 작업반’에 참여한다. 무탄소에너지 정의, 실적 검증·인증 방안 등을 포함한 ‘글로벌 CFE 인증 기준’을 마련해나가기로 했다. CF연합의 글로벌 작업반 참여 주체는 기존 한국, 일본, 아랍에미리트(UAE), 체코, 국제에너지기구(IEA), 청정에너지장관회의(CEM)에 이어 미국 CEBA까지 일곱 곳으로 확대됐다. 이회성 CF연합 회장은 “기업들은 CFE 이니셔티브 또는 RE100을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리안 기자 [email protected]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6일 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힐튼호텔에서 한국 무탄소에너지 수요기업 단체인 무탄소(CF)연합과 미국 청정에너지구매자연합(CEBA)이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CFE 이니셔티브는 재생에너지를 100% 활용하는 ‘RE100’으론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이 어려운 만큼 원자력발전, 탄소포집저장(CCS) 등 무탄소에너지 전반을 폭넓게 활용하자는 개념으로 한국이 주창하고 있다.
CEBA는 이번 협약을 통해 미국 민간 부문을 대표해 CF연합이 가동하는 ‘CFE 글로벌 작업반’에 참여한다. 무탄소에너지 정의, 실적 검증·인증 방안 등을 포함한 ‘글로벌 CFE 인증 기준’을 마련해나가기로 했다. CF연합의 글로벌 작업반 참여 주체는 기존 한국, 일본, 아랍에미리트(UAE), 체코, 국제에너지기구(IEA), 청정에너지장관회의(CEM)에 이어 미국 CEBA까지 일곱 곳으로 확대됐다. 이회성 CF연합 회장은 “기업들은 CFE 이니셔티브 또는 RE100을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리안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