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자 손잡은 올트먼 '월드코인'…암호화폐 결제 카드 내놓는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하반기 美 출시 후 서비스 확대
홍채인식 기반 거래도 美서 시작
홍채인식 기반 거래도 美서 시작

30일(현지시간) 월드를 운영하는 툴스포휴매너티(TFH)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마침내(At last)’ 행사를 열어 글로벌 카드사 비자와 함께 ‘월드 카드’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월드는 하반기 미국에서 이 카드를 먼저 선보인 뒤 다른 국가로 서비스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월드는 올트먼 CEO가 ‘인공지능(AI) 시대의 기본소득 지급 수단’을 목표로 만든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월드는 이날 홍채 인식을 기반으로 한 암호화폐 월드코인 거래 개시 계획도 공개했다. 월드코인은 ‘오브’라는 기기로 홍채를 인식해 AI가 아니라 인간임을 인증해야 받을 수 있는데, 월드가 홍채 데이터를 무단 수집할 수 있다는 우려에 그동안 미국에서 출시하지 못했다. 월드는 다음날부터 미국인도 샌프란시스코, 로스앤젤레스(LA) 등 6개 도시에 설치된 오브를 통해 홍채를 인식해 월드코인을 지급받고, 미국 내 암호화폐거래소에서 거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올트먼 CEO는 “기술 혁신을 주도해야 할 미국이 그동안 기술에 적대적인 태도를 보여온 것이 안타까웠다”며 “오늘 그 잘못된 흐름을 바로잡는 데 우리가 기여할 수 있어 기쁘다”고 말했다.
월드가 미국에서 거래를 시작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친(親)암호화폐’ 기조와 AI 인프라 확충 프로젝트 ‘스타게이트’의 주축인 올트먼 CEO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월드는 트럼프 행정부의 기조에 발맞춘 듯 새로운 버전의 오브를 텍사스주 리처드슨의 새 공장에서 양산할 것이라며 ‘미국 내 제조’를 강조하기도 했다. 올트먼 CEO와 함께 TFH를 공동 설립한 앨릭스 블라니아 CEO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관련 질문에 “여러 요인이 작용했다”며 “미국 내에서 규제 명확성에 대한 기대가 커진 점이 주효했다”고 말했다.
샌프란시스코=송영찬 특파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