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입니다.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입니다.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임금에 불만족하는 밀레니엄+Z(MZ)세대 공무원일수록 기성세대에 비해 이직 의향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민간 기업과의 임금 격차가 이들의 이탈 의사를 자극하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30일 한국인사행정학회에 따르면 지난 27일 전국 공무원 6170명을 대상으로 한 '공직생활실태조사' 데이터를 분석해 ‘공·사 임금 격차에 대한 인식이 공무원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공무원이 민간기업과의 임금 격차에 대해 '매우 그렇다'부터 '전혀 그렇지 않다'까지 5단계로 응답한 것을 분석한 결과 임금에 대한 불공정 인식이 한 단계 높아질수록 이직 의사는 약 7%포인트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임금이 불공정하다"고 생각하는 공무원 중에서는 MZ세대의 이직 의도가 기성세대보다 훨씬 높았다. 반대로 "임금이 적정하다"고 느끼는 집단에서는 오히려 MZ세대가 기성세대보다 낮은 이직 의사를 보여 대조를 이뤘다.

연구진은 "MZ세대는 자신의 노력에 대한 보상이 공정하지 않다고 느끼면 조직을 떠나려는 경향이 강하다"며 "공직사회가 '과정의 공정성'과 '보상의 적절성'을 확보한다면 MZ세대 공무원들의 이직 의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일정 부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실제 공무원의 이직 문제는 통계로도 드러난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재직 5년 미만 공무원 중 조기 퇴직자는 2019년 6663명에서 꾸준히 늘어 2023년 1만 3823명으로 4년 사이 2배 이상 증가했다. 국가공무원 5급 공개채용 및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 경쟁률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앞서 한국행정연구원이 지난해 11월 발간한 '열망에서 실망으로: 2023년 공직생활실태조사로 살펴본 신입 사무관의 이직' 보고서에서도 응답자 6000명 중 40% 이상이 "기회가 된다면 이직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특히 공직에 대해 높은 동기를 가지고 입직한 5급 신입 사무관들조차 절반에 가까운 49.1%가 이직 의사를 밝혔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김경동 행정연구원 국정데이터조사센터 부연구위원은 "이는 정책 과정에 참여하는 효능감이나 의사 결정의 자율성이 보장되지 않는 것에 대한 좌절감과 실망감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유지희 한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