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칼럼]국내 주요 업종과 미국 외 국가 지수 투자 고려할 때
※한경 마켓PRO 을 구독하시면 프리미엄 투자 콘텐츠를 보다 편리하게 볼 수 있습니다. 텔레그램에서 마켓PRO를 검색하면 가입할 수 있습니다.
[마켓칼럼]국내 주요 업종과 미국 외 국가 지수 투자 고려할 때
[마켓칼럼]국내 주요 업종과 미국 외 국가 지수 투자 고려할 때
김정민 대신증권 랩사업부 과장

현재 금융시장 전망

글로벌 증시는 트럼프 관세정책으로 인해 급격한 변동성 장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

특히 미국의 경우 관세정책으로 인한 대규모 시위가 발생하고 있으며 물가상승, 경기침체 우려감, 정치적 불안감이 확대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5년 1분기부터 국제자금의 흐름을 살펴보면 미국에서 타국가로의 자본이동이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달러화 약세가 단기간에 급격히 나타나고 있으며 달러인덱스지수가 100을 하향하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채 장기물에 대한 투매현상까지 나타나며 수급의 불안정으로 급격한 채권금리 상승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국내증시는 미국시장과는 달리 상대적으로 강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여전히 정치적 리스크가 존재하고 있으며, 내수부진, 관세정책으로 인한 수출 둔화 우려 등으로 주요기관들의 경제성장률의 하향 조정, 수급적인 측면에서는 외국인의 매도세는 꾸준히 이어지고 있으나 지수에 대한 바닥권이라는 인식이 투자자에 퍼져있어 2400~2600선의 박스권 모습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유가의 경우 경기침체 우려로 단기간에 55달러까지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차츰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 당분간은 60~75달러 박스권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금 가격은 인플레이션 우려로 투자수요가 증가하여 전고점 3200달러를 돌파하며 여전히 강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투자자에 대한 조언

현재 금융시장은 무엇보다 트럼프 행정부와 주요국가들의 관세협상에 대한 모니터링이 계속해서 필요한 시점입니다. 관세부과에 대한 90일 유예로 충격은 어느정도 완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불확실성이 남아 있습니다.

관세정책에 대한 예측보다는 국가별 산업별 대응하는 접근방법이 필요하며 빠른 매매전략도 무엇보다 필요합니다.

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트럼프 관세정책의 영향력이 적은 산업 섹터나 미국과의 협력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산업부문에 대한 관심 및 공부가 여전히 필요한 시점입니다.

투자 아이디어

현재 4월 국내증시는 외국인 매도세가 3월 대비 약화되었으나 연기금의 저가 매수, 국내 투자자의 증시바닥권이라는 인식에 힘입어 하단 2400선을 방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정치적 혼란이 어느정도 안정화되는 분위기로 주식시장에 현재 미치는 영향력은 제한적인 모습입니다. 반면 미국과의 관세협상은 국내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계속해서 모니터링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환율은 달러약세로 1420원대 안팎에서 유지되고 있으나, 타 통화 강세에 비추어 상대적인 약세를 계속해서 나타내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대통령선거, 미국과의 관세협상 등 불확실성이 감소한 이후에나 원화강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현재 한국주식시장은 지수하단에 대한 강한 믿음이 시장에 강하게 퍼져 있는 상황입니다.

이로 인해 한국 주요 산업에 대한 분할 매수전략 및 미국 이외에 국가지수에 대한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