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4일 오후 인천시 연수구 송도동 수변 산책로에서 '개선충'에 감염된 것으로 보이는 너구리가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 24일 오후 인천시 연수구 송도동 수변 산책로에서 '개선충'에 감염된 것으로 보이는 너구리가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인천 송도국제도시 도심 공원에서 털이 듬성듬성한 동물이 잇따라 발견되고 있다. 이 동물은 '개선충'에 감염된 너구리로 밝혀졌다. 지자체는 너구리에 가까이 접근하면 상해를 입을 수 있어 '모르는 척하고 지나가라'고 권고하고 있다.

27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난 23일과 24일 오후 송도의 한 고등학교 인근 수변 산책로에서 온몸에 털이 빠진 동물이 포착됐다. 머리와 꼬리 일부분을 제외하면 모두 털이 빠졌고, 몸에 얼룩덜룩한 자국이 남아 있었다.

서문홍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사는 이 동물을 '개선충(옴진드기)'에 감염된 너구리라고 설명했다. 개선충증은 보통 귀와 겨드랑이, 복부, 다리에서 시작돼 몸 전체의 털이 빠지고, 심한 가려움증, 표피 박리, 만성 피부염 등을 유발한다.
 지난 24일 오후 인천시 연수구 송도동 수변 산책로에서 '개선충'에 감염된 것으로 보이는 너구리가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 24일 오후 인천시 연수구 송도동 수변 산책로에서 '개선충'에 감염된 것으로 보이는 너구리가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 연구사는 "과거 미지의 괴생물로 불린 '추파카브라'는 실제로는 개선충에 감염된 코요테였다"며 "너구리도 털이 빠지면 다른 생물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다"고 부연했다. 이어 "너구리는 단체로 생활하는 동물이라 한 마리가 감염되면 주변 다른 개체도 감염될 가능성이 높다"며 "개선충 감염은 각 개체와 주변 서식 환경 등이 건강하지 못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했다. 직접적인 접촉이 없다면 사람에 확산할 우려는 없다고 전했다.

너구리가 다수 출몰하자 인천시설공단은 "가까이 접근하면 상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적당한 거리를 유지한 채 모른 척 지나가 달라"는 현수막을 내걸기도 했다.

관할 지방자치단체인 연수구는 너구리들이 기존 서식지인 농경지나 산림지 개발에 따라 도심 공원 등지로 넘어온 것으로 추정했다. 연수구 관계자는 "정기적으로 너구리 주요 출몰지에 광견병약을 살포해 질병을 예방하고 있다"며 "너구리를 구조해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에 보내 조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진영기 한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