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PRO] Today's Pick : "관세 영향 자유로운 롯데쇼핑…목표가↑"
※Today's Pick은 매일 아침 여의도 애널리스트들이 발간한 종목분석 보고서 중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가 변경된 종목을 위주로 한국경제 기자들이 핵심 내용을 간추려 전달합니다.
사진=김영우 기자
사진=김영우 기자
👀주목할 만한 보고서

롯데쇼핑 - 목표주가 상향

📈목표주가 : 7만원→8만원(상향) / 현재주가 : 6만2600원
투자의견 : 매수(유지) / LS증권


[체크 포인트]
-1분기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1.3% 감소한 4조8,908억원,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18.3% 증가한 1,358억원을 예상해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실적 기록할 것으로 추정.
-관세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내수 업종에 대한 기대감. 백화점 사업 또한 조기 대선 전후로 새 정부의 내수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이 유효하고, 해외 출점 확대 등이 긍정적. 할인점은 경쟁사의 기업회생 돌입에 따른 바잉파워 및 시장 점유율 확대 예상.
-2025년 연간 순매출액은 전년대비 0.3% 증가한 14조 240억원, 영업이익은 전년대
비 22.4% 증가한 5,791억원 전망.
-자산 재평가를 통한 재무구조 개선 긍정적. 단기적으로는 새 정부 기대감이 유효. 중장기적으로는 해외 사업 확장에 따른 성장 스토리도 지속적으로 지켜볼 필요.

삼성바이오로직스 - 1Q25 Preview

📈목표주가 : 120만원→135만원(상향) / 현재주가 :103만8000원
투자의견 : 매수(유지) / LS증권


[체크 포인트]
- 1Q25 연결 매출액 1조 2,204억원 (+28.9% YoY), 영업이익 3,680억원 (+66.3% YoY, OPM 30.2%) 전망. 올해 연결 매출액 5조 6,860억원 (+25.1% YoY), 영업이익 1조 6,923억원 (+28.2% YoY, OPM 29.8%)로 연초 제시한 가이던스 상단 달성 가능할 것으로 예상.
- 5공장 4월부터 가동 예정. 4/5 공장의 매출 기여도 점차 상승하여 상저하고의 실적 전망. 4/5 공장의 DS 매출 기여도는 2024년 20~25%에서, 2025년 35~40% 수준까지 증가할 것. 1분기 유럽 소재 글로벌 제약사와 약 14억 달러 규모의 신규 계약을 체결하며 전년 대비 빠른 증가세
-NSCEB 권고안에서 드러나듯이 미국의 중국 견제가 재개될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는 것으로 판단. 미국의 대중국 정책 변화가 본격화 될 경우 미국과 동맹국 중심의 장기적인 공급망 재편 가능성 존재. 이러한 환경 변화는 글로벌 GMP 역량과 트랙레코드, 대규모 생산설비를 갖춘 동사에 중장기적으로 전략적 우위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

KT - 산뜻한 출발

📈목표주가 : 5만5000원→6만원(상향) / 현재주가 : 4만7300원
투자의견 : 매수(유지) / 흥국증권


[체크 포인트]
-KT의 1분기 예상 매출액은 7조 244억원(+5.6% YoY), 예상 영업이익은 6,952억원(+37.3% YoY)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 유무선 본업에서의 기조적인 성장세는 지속되고 있음. 1Q 부동산 일회성 이익 반영 시작. 무선 매출은 1% 수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 클라우드, AICC 등 성장세도 이어갈 것으로 보임. 일반 B2B 부문의 저수익 사업 합리화 기조 또한 지속.
-KT의 25년 실적은 부동산 일회성 이익을 제외하고도 상당히 양호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전망. 25년 매출액은 27.9조원(+5.6%), 영업이익은 2.47조원(+204.9%)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 이익 성장 기조는 주주환원 확대로 연결될 것. 이미 2500억원 규모 자사주 매입 소각 결정. 밸류업 공시 당시 28년까지 1조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및 소각 예고.

신세계인터내셔날 - 회복을기다리며

📈목표주가 : 1만3000원→1만500원(하향) / 현재주가 : 9340원
투자의견 : 매수→홀드(하향) / NH투자증권

[체크 포인트]
-1분기 실적 컨센 하회 예상.고환율과 내수 소비위축으로 고가수입 브랜드 포트폴리오 보유한 동사 실적에 불리하게 작용. 어뮤즈 연결 편입에도 뚜렷한 실적 반등까지 시일소요 판단.
-해외 브랜드의 한국 직진출, 국내외 명품 수요 둔화, 강달러 기조 장기화로 인한 수입 브랜드 매입가 상승이 매출총이익률 하락의 원인으로 분석. 2025년과 2026년 영업이익 추정치가 각각 -21%, -13% 하향 조정.
-2025년 하반기부터 비용 감축 및 기저 효과로 이익 성장이 예상되지만, 전사 영업이익률이 3% 내외로 실질적인 수익성 향상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판단.
-목표 주가와의 괴리율을 고려해 투자의견은 홀드(Hold)로 하향 조정.

조아라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