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PRO] Today's Pick : "이마트, 2분기 흑전...영업이익 1조원 포석"
※Today's Pick은 매일 아침 여의도 애널리스트들이 발간한 종목분석 보고서 중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가 변경된 종목을 위주로 한국경제 기자들이 핵심 내용을 간추려 전달합니다.
[마켓PRO] Today's Pick : "이마트, 2분기 흑전...영업이익 1조원 포석"
👀주목할 만한 보고서

- 영업이익 1조원을 향하는 시작!


📈목표주가 : 9만5000원→10만4000원(상향) / 현재주가 : 8만4300원
투자의견 : 매수(유지) / IBK투자증권


[체크 포인트]
=2025년 1분기 이마트 실적은 높아진 기대치를 충족할 것으로 판단함.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7조4151억원(전년 동기 대비 +2.9%), 영업이익 1432억원(전년 동기 대비 204%)으로 전망.
=긍정적인 실적을 예상하는 이유는 ▲지난해 이뤄진 고강도 구조조정에 따른 고정비 절감 효과 ▲수익성 개선 및 구매 통합에 따른 상품 마진율 증가 ▲G마켓 연결 제외에 따른 PPA(영업군 관련 상각비) 감소(분기 240억원) ▲연결 종속회사 수익성 개선에 따른 효과 때문
=1분기 업황은 우호적이지 않음. 영업일수 감소와 국내 경기 악화로 집객력 회복이 쉽지 않았기 때문.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조적인 체질 개선 작업 효과로 영업실적은 큰 폭으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
=2분기 실적은 흑자 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 2분기 재산세 이슈로 고정비가 부담되는 구간이지만, 고정비 절감 효과와 구매 통합에 따른 수익성 개선, 신세계프라퍼티 회계기준 변경에 따른 이익 증가, PPA 감소 등을 고려할 경우 흑자 가능성 높다는 판단
=하반기 SSG.COM 물류비 효율화와 네오물류센터 수익성 개선이 기대돼 이익 개선도 예상돼 긍정적임.

LS일렉트릭 - 북미 진출 과정에서 만난 불확실성


📉목표주가 : 28만원→26만원(하향) / 현재주가 : 16만8300원
투자의견 : 매수(유지) / 하나증권


[체크 포인트]
= 목표주가 26만원으로 기존 대비 7.1% 하향하며 투자의견 매수 유지. 2026년 예상 EPS에 목표 PER 20배 적용.
=1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에 부합할 전망. 대기업 국내외 투자 감소에 따른 배전반 실적의 둔화가 불가피하나 환율 상승과 양호한 수주를 기반으로 견조한 실적 흐름이 기대. 북미 빅테크 업체향 매출이 본격화되는 2분기 이후 유의미한 성장이 예상. 2025년 기준 PER 15.4배, PBR 2.4배.
=1분기 매출액 1조1696억원으로 전년 대비 12.6% 상승할 전망. 원달러 환율 약세가 외형 확대에 우호적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신규 법인 인수 영향으로 자회사의 성장이 유의미하게 나타날 전망. 전력 인프라는 견조하고 전력기기는 소폭 둔화가 예상.
=영업이익은 890억원으로 전년 대비 5.1% 감소할 전망. 과거 전력 인프라 부문 이익 성장을 이끌던 배전반 수요 둔화에도 불구하고 전력 변압기와 배전기기 등 다른 주요 제품의 성장은 지속될 것으로 보여.
=4월 발표된 반덤핑 관세율 16.87% 관련 비용 인식 규모는 유의미한 수준은 아닐 것으로 보여. 국내보다 북미 판매가격이 훨씬 높은 상황이기 때문에 향후 AD 리스크는 제한적일 전망. 한편 상호관세의 경우 2024년 북미 매출이 1조3000억원으로 상당히 컸다는 점에서 영향은 일정 부분 나타날 수밖에 없어.

- 2분기부터 서서히 나타날 관세 충격


📉목표주가 : 29만원→27만원(하향) / 현재주가 : 18만7000원
투자의견 : 매수(유지) / 신한투증권


[체크 포인트]
=당장은 7%대의 배당수익률과 상반기 중에 있을 자사주 매입, 소각이 만들어줄 하방 지지력을 기대. 보스톤 다이내믹스 중심의 로보틱스 내재화, GM/Waymo와의 협력, SDV 전환 등 주가의 장기 리레이팅 기반은 강화되고 있다는 판단.
=1분기 실적은 매출액 43조8000억원(전년 동기 대비 +7.6%), 영업이익 3조4000억원(-4%)으로 시장 기대치에 부합할 전망. 1분기 글로벌 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0.3%), 하이브리드차 판매 증가(+29%) 및 환율 상승(+9.3%) 효과 등으로 평균 판매단가가 크게 오르며 매출 증가 가능할 것. 북미 인센티브가 약 16% 상승한 점은 이익 감소에 일부 영향을 미칠 전망
=현대차 브랜드와 제네시스의 미국 내 신차 거래가격은 각각 3만7000달러와 6만5000달러 수준. 한국 공장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출된 물량은 현대차 55만6000대, 제네시스 5만2000대(2024년 기준). 산술적으로 연간 최대 8조8000억원의 관세 비용 발생할 수 있음
=메타플랜트 공장 가동 돌입, 한국 미국 공장 간 생산 믹스 조정, 재고 활용, 인센티브 축소 등의 자구적인 노력에 환율 효과 더해져 실제 비용은 추산한 것보다 적은 2조~3조원을 기록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