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관현 열사 감옥방서 살았다"…5·18 묘역서 눈시울 붉힌 김문수 [대선 현장]
입력
수정
5·18 상징적 장소 찾은 金
"5월 정신은 미워하거나 공격하는 수단 아냐"
전주에선 '지역 발전' 공약 내놔
金, 5·18 민주묘역서 눈물...수감됐던 광주 교도소도 방문
이날 오전 김 후보는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았다. '오월 광주, 피로 쓴 민주주의'라는 방명록을 남긴 그는 묘역을 둘러보던 중 박관현 열사 묘소 앞에서 걸음을 멈췄다. 묘지에 쓰여진 열사의 약력에 눈길을 오래 두더니, 말을 잇지 못한 채 조용히 고개를 숙였다. 눈가를 훔치던 그는 "제가 박 열사 방에서 수감 생활을 했다"며 "박 열사가 사망한 뒤 제가 들어가서 1년 동안 생활했다"고 운을 똈다. "(박 열사가) 교도소에서 계속 단식을 하다 지병으로 돌아가셨다"며 "(박 열사) 누님이 살아계신데 매년 오신다. 너무 아픈 추억이 떠오른다"고 말했다.이어 "5월 정신은 남을 미워하거나 누구를 공격하는 수단이 아니다"며 "정말 희생 위에 대한민국 자유와 민주주의가 서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를 정치적으로 악용하고 저에게 고함치는 사람들이 있지만, 그 사람들이 5월의 아픔을 알겠나"고 직격했다.
김 후보는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중앙선거대책위원회 광주·전북·전남 현장회의도 참석했다. 그는 "5·18 정신 아래 그 어떤 부패도 독재도 있을 수 없다. 지금 우리 앞에 보여지는 독재는 세계 역사상 유례없는 독재”라며 민주당의 대법관 탄핵 추진 움직임 등을 비판했다. 이어 “이게 민주주의고 5월 정신인가. 이런 민주당과 민주주의를 바란 것은 아니라고 전 확신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민주주의의 승리, 광주 오월 정신 승리를 향해서 모든 것을 다 바쳐 싸울 것을 약속드린다"고 밝혔다.
'하계 올림픽 유치 및 새만금 개발' 약속
오후에는 전북 전주로 이동해 선거운동을 이어갔다. 전동성당 앞 거리 유세에 나선 김 후보는 2036 하계올림픽 유치 및 새만금 개발 등을 핵심 공약으로 제시했다. “2036년 하계올림픽을 반드시 유치하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새만금 개발과 관련해서도 민간기업 유치를 위해서 새만금으로 이전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세제 혜택을 제공하고 땅값도 대폭 줄이겠다고 공약했다. 그는 "땅을 거의 무료로 주다시피 과감히 제공해야 한다"며 "그래야 국내 및 외국기업이 들어온다"고 말했다.유세를 마친 김 후보는 전주한옥마을을 둘러보며 시민들과 인사를 나눴다. 이어 전북개인택시조합 간담회에 참석한 김 후보는 택시기사 시절을 언급하며 친근함을 이끌었다. 그는 “아마 역대 대통령 중 저만큼 택시를 많이 해 본 사람은 없을 것”이라며 “여러분들을 제가 잘 모시는 ‘택시 대통령’이 되도록 하겠다”고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