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發 미·중 AI 전쟁

-
챗GPT·딥시크 만들 인재 모두 의대로…작년 한국 '유망 AI' 0개
정부는 한국의 인공지능(AI) 산업 경쟁력을 ‘3위권’으로 평가한다. 영국 데이터 분석 기관인 토터스미디어가 발표한 ‘글로벌 AI 인덱스’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은 조사 대상 83개국 가운데 6위를 차지했다. 미국이 100점이었...
2025.02.02 17:56
-
'국가대표 AI' 없는 한국
1950년부터 약 2100개의 인공지능(AI) 모델을 분석해 AI산업 발전 궤적을 연구하는 미국의 다학제적 기관 에포크AI에 지난달 말 충격적인 통계가 올라왔다. 국가별 ‘2024 주목할 만한 AI’에 관한 최신 통계로, 2일 한국경제신문이 집계한...
2025.02.02 17:54
-
량원펑은 왜 첫 회사 이름을 獨 수학자에서 따왔나
세계 인공지능(AI) 기술과 산업 생태계를 뒤흔든 중국 대표 괴짜 량원펑 딥시크 대표(사진)의 저력은 수리과학에서 비롯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고교 시절 수학 천재로 불린 량원펑은 2013년 야코비투자관리회사를 설립했다. 2년 뒤 창업한 퀀트 투자 전문 ...
2025.01.31 18:06
-
"美 자존심 회복할 것"…실탄 확보 서두르는 실리콘밸리
오픈AI가 최대 400억달러(약 58조원) 규모의 자금 조달에 나섰다. 삼성전자 시가총액(312조원, 31일 기준)의 약 5분의 1을 단숨에 마련하겠다는 것으로 미국 벤처캐피털업계에서도 단일 건수로는 최대 규모다.3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이번 ...
2025.01.31 18:05
-
"딥시크로 놀라긴 이르다"…'가성비 AI' 줄줄이 출격
딥시크와 함께 중국 인공지능(AI) ‘5대 천왕’으로 불리는 문샷AI, 즈푸AI, 바이촨, 미니맥스가 잇달아 AI 생태계에 진입해 미국을 위협하고 있다.31일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딥시크 뒤를 이을 AI 기업으로 가장 주목받는 곳은 문샷AI...
2025.01.31 18:04
-
中 'AI 5대 천왕' 용틀임…오픈AI는 58조원 조달
‘8만 명.’ 올해 중국이 배출할 과학·기술·공학·수학(STEM) 분야 박사 인력이다. ‘스템의 원조’인 미국의 두 배 규모다. 중국 정부는 2021년 5개년 과학기술 고도화 계획인 &ls...
2025.01.31 17:49
-
中이 10년 공들인 SW…'인재군단·칩·데이터' 만나 딥시크로 꽃폈다
‘딥시크 충격’은 세계 인공지능(AI) 질서를 미국 독주에서 미·중 양강 구도로 바꿔 놓을 것이란 분석이 나올 만큼 엄청난 파장을 불러왔다. 전문가들은 약 10년에 걸친 중국의 ‘소프트웨어(SW) 대계’가 낳은 결...
2025.01.31 17:48
-
'가성비 갑' 中 딥시크, 美 AI 급소 찔렀다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독주’를 자신하던 미국의 허를 찔렀다. 미국 빅테크 메타의 10분의 1에 불과한 비용으로 오픈AI의 챗GPT를 능가하는 AI 모델을 선보이자 엔비디아 등 뉴욕증시의 기술주 시가총액이 지난 27일 하루 만에...
2025.01.30 18:26
-
78억짜리 중국산 'AI 고래', 1400억 쓴 챗GPT 압도
설립된 지 2년도 안 된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深度求索)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짧은 시간에 저비용으로 오픈AI의 챗GPT급 AI를 내놓아 미국 월가와 실리콘밸리를 발칵 뒤집어서다. 딥시크에 대한 궁금증을 Q&A 형태로 풀어...
2025.01.30 18:24
-
'中 초저가AI' 실체 밝혀라…美빅테크 '워룸' 차리고 반격 준비
딥시크가 등장하기 전까지만 해도 글로벌 인공지능(AI)산업은 미국의 독주나 다름없었다. 개당 수천만원에 달하는 AI 학습용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엔비디아 등 미국이 독점 생산하고, 오픈AI 같은 실리콘밸리의 빅테크들은 전 세계에서 빨아들인 자금을 무기로 GPU를 수...
2025.01.30 18:23
-
"값비싼 엔비디아 AI칩 필요한가?" vs "고성능 칩 수요 더 커질 것"
딥시크 출현은 세계 인공지능(AI) 반도체산업에 충격을 줬다. 딥시크가 엔비디아의 저사양 AI 가속기(AI 학습·추론에 특화한 반도체 패키지) ‘H800’을 써서 반도체 관련 투자 비용을 미국 AI 기업 대비 10분의 1 수준으로 줄였...
2025.01.30 18:21
-
HBM 수요 줄어드나…하이닉스·삼성도 '초비상'
엔비디아에 고대역폭메모리(HBM)를 공급 중인 한국 메모리 반도체 기업들이 중국 딥시크로 촉발된 ‘미·중 인공지능(AI) 전쟁’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국 빅테크가 엔비디아 AI 가속기 구매량을 줄이거나 미국 정부가 AI 가속기의...
2025.01.30 18:21
-
美·中에 밀린 韓업체…"특화 AI로 생존 모색"
‘딥시크 충격’이 국내 인공지능(AI) 관련 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관심이 쏠린다. 미·중 양강 구도로 세계 AI 질서가 굳어지면 한국 AI 기업은 도태될 것이란 지적이 우세하지만, 일각에선 엄청난 비용이 드는 AI 학습용 그래픽...
2025.01.30 18:21
-
40세 '중국판 샘 올트먼'…헤지펀드 출신 中토종 '괴짜 엔지니어'
딥시크가 화제가 되면서 량원펑(梁文鋒) 창업자(사진)는 중국에서 단숨에 스타로 떠올랐다. ‘중국판 샘 올트먼(오픈AI 창업자)’이란 별명도 붙었다.중국 매체를 종합하면 량 창업자는 1985년생으로 중국 광둥성에서 태어났다. 중·고교 시...
2025.01.30 1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