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PRO] Today's Pick : "삼성전자, 높아진 회복 기대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마켓PRO] Today's Pick : "삼성전자, 높아진 회복 기대감"](http://img.wvnryckg.shop/photo/202504/01.37092773.1.png)
![[마켓PRO] Today's Pick : "삼성전자, 높아진 회복 기대감"](http://img.wvnryckg.shop/photo/202504/01.40017935.1.jpg)
삼성전자 - 높아진 회복 기대감
📈목표주가 : 7만3000원→7만7000원(상향) / 현재주가 : 5만8000원투자의견 : 매수(유지) / 신한투자증권
[체크 포인트]
-계절적 비수기, 파운드리 가동률 부진, HBM 주문 공백, 디스플레이(SDC), TV/가전(VD/DA) 경쟁 심화 등 이미 알려진 악재들은 컨센서스와 주가에 기반영.
- 메모리 가격 반등, 하반기 HBM 비중 확대 기대감 반영해 연간 실적 추정치 일부 조정 → 목표주가 상향. 1분기 실적 바닥 확인 후 연내 회복세 지속 기대.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77,000으로 5.5% 상향. 2025년 예상 주당순자산가치(BPS) 61,813원, 목표 주가순자산비율(P/B) 1.3배(과거 4년 평균) 적용.
-현 주가는 12개월 선행 P/B 기준 0.9배로 변동성 확대 구간에서 유의미한 방어주 역할 기대. 2분기부터 수급 개선 → 메모리 판가 상승세 지속 전망돼 점진적인 회복세 진입 예상.
-2025년 영업이익 34.7조원으로 7.6% 상향. 유의미한 성과 확인 시 실적 추정치 추가 상향도 가능하다는 판단.
아모레퍼시픽 - 매출과 수익성의 밸런스
📋목표주가 : 18만5000원(유지) / 현재주가 : 10만5900원투자의견 : 매수(유지) / 상상인증권
[체크 포인트]
-아모레퍼시픽의 1Q25 연결 실적은 매출액 9,959억원, 영업이익 926억원을 기록할 전망.
- 국내 화장품은 매출액 yoy -0.5%, 영업이익 yoy +4%를 예상. 전 채널의 수익성 중심 전략과 설화수 에센셜 라인 가격 인상 등으로 부문 수익성은 전년동기대비 소폭 상승한 10.6%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
-국내 생활용품은 전년도 낮은 기저에 따라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yoy +4%, +134% 증가할 것으로
예상.
-해외 화장품은 매출액 yoy +24%, 영업이익 yoy +37%를 기록할 전망. 중국 매출이 yoy -20% 수준 역성장하겠으나, 나머지 기타 국가들의 매출 호조로 부문 전체 성장이 예상. 미국과 EMEA 중심으로 고성장세 지속되는 가운데, 일본도 신규 브랜드 진출 및 견조한 판매로 yoy +30% 이상 성장할 전망.
-1Q25까지는 연결 실적 내 코스알엑스 편입효과가 전사 성장 요인으로 기여하겠으나, 현재 코스알엑스는 모멘텀이 지속 약화되고 있어 매출 하락율이 20-30%에 달할 것으로 전망.
-올해 매출 성장 동력은 서구권 및 일본에서 고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는 자체 브랜드가 될 것으로 판단.
LG전자 - ESG 경영에 진심인 기업
📋목표주가 : 12만원(유지) / 현재주가 : 7만7900원투자의견 : 매수(유지) / BNK투자증권
[체크 포인트]
-글로벌 소비경기 회복이 지연되며 어려운 영업환경에도 동사는 가전 경쟁력 제고와 B2B 사업 강화, 신사업 확대를 통해 매년 꾸준한 매출 성장을 기록중.
-특히 가전의 경우, 경쟁사 월풀과의 매출 격차를 더욱 벌리고 있어.
-동사 FCF는 작년 1.5조원에서 올해는 3.5조원으로 예상되는데, 지난 두 번의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에 이어 올해도 추가적인 배당확대와 자사주 매입 소각 등 주주가치 환원 정책이 있을 것으로 전망.
- 작년 말 2차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에서는 자사주 약76만주를 매입하여 올해 소각하기로 하였으며, 향후 당기순이익의 25% 이상을 주주가치 환원에 활용하겠다고 밝혀. 따라서 올해는 작년보다 주당 배당금이 더 상승하고 추가 자사주 매입 소각도 예상.
-밸류에이션 저평가 영역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ROE 제고 노력이 요구.
SOOP - 가능성을 보자
📋목표주가 : 15만원(유지) / 현재주가 : 8만6700원투자의견 : 매수(유지) / 하나증권
[체크 포인트]
-팬데믹 고성장 이후 라이브 스트리밍 시장의 뷰어십은 감소 추세에 있었으나, 2024년 반등(+12%YoY)을 확인,
-글로벌 1위 플랫폼인 트위치는 정체되어 보이나 유튜브, 킥 등이 시장을 확대하고 있으며 크리에이터들은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팬덤 확보, 안정적 수익 창출을 이뤄내고 있음.
- 현대인의 제한된 시간 속 숏폼의 폭발적 성장은 모든 플랫폼에 숏폼을 탑재하도록 만들었고 당분간 이러한 고성장 추세 지속될 것으로 예상. 다만 숏폼과 롱폼의 성격은 상호 보완적이며 라이브 스트리밍 시장 역시 동반 성장 가능하다고 전망.
- 장수 스트리머의 팬덤 강화, 신규 스트리머의 성장이 이뤄지고 있기에 스포츠/E스포츠 이벤트, 메가 히트 게임이 출시가 동반된다면 MUV도 바닥을 다지고 충분히 반등 가능할 전망.
- SOOP은 현재 역사적 하단 수준인 12MF P/E 9배 수준에서 거래중. 1) 글로벌 SOOP 동시 송출 확대, 2) 별풍선 지속 성장, 3)플레이디 인수가 진행 중인 현재 기대보다는 우려를 반영한 주가.
- 매도 실익이 크지 않은 구간이며 상기한 3가지의 성과 확인에 따른 장기적 비중확대 접근이 유효하다 판단.
나수지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