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레이스키'와 함께 찾는 新중앙아시아 비즈니스 해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KOTRA가 본 해외시장 트렌드
고려인 30만명 위상 높아져
현지 진출 기업의 핵심 파트너
비즈니스 네트워크 적극 활용할 만
고려인 30만명 위상 높아져
현지 진출 기업의 핵심 파트너
비즈니스 네트워크 적극 활용할 만

그러나 중앙아시아는 구소련식 잔재가 남아있는 복잡한 행정 절차, 언어 장벽, 문화적 차이를 극복해야하는 결코 쉬운 시장은 아니다. 이러한 도전 속에서 약 30만 명에 달하는 고려인 사회는 현지에 진출하고자 하는 한국 기업들에게 중요한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는 핵심 파트너다.
1937년 스탈린 정권에 의해 극동 러시아 연해주 지역에서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 ‘까레이스키’로 불리는 고려인은 이제 중앙아시아에서 경제적·사회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카자흐스탄에는 약 11만 명, 우즈베키스탄에는 약 17만 명, 키르기스스탄을 포함한 기타 지역에도 수만 명의 고려인이 거주하고 있다.
지난해 카자흐스탄 포브스에 따르면, 카자흐스탄 부자 1위는 카스피 은행의 김 베체슬라브 회장이었다. 상위 50명엔 7명의 고려인이 이름을 올렸다. 고려인의 인구비중이 0.6%에 불과한 것을 감안하면 이례적이다. 우즈베키스탄에서도 작년에 고려인 하원의원 2명이 당선됐다.
고려인들은 우리에게 중요한 협력 파트너다. 이들은 한국식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 이에 따라 한국 기업이 현지 시장에 적응하는 데 중간 교량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지난해 중앙아시아에 최초로 진출한 편의점 CU의 현지 파트너는 중앙아시아 최대 아이스크림 제조사인 신라인이었다. 고려인 2세가 운영하는 회사다. 약 20년 전 한국의 유휴 설비를 수입해 최초로 한국식 아이스크림을 제조했고 소매유통, 의료 등의 분야까지 한국 기업들과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최근 중앙아시아 소비자들은 K-푸드와 K-뷰티 등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 한국의 문화를 잘 이해하고 있는 고려인 기업들의 참여는 한국 제품의 현지 마케팅과 유통 분야 협력에 새로운 도약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들은 축적된 자본력과 성공 사례를 바탕으로 시장 변화에 선제적 대응을 위해 미래 먹거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카자흐스탄에서 추진하고 있는 알라타우 신도시 프로젝트는 약 1500억달러의 대규모 투자 유치를 통해 관광, 산업, 교육, 금융 등 4개 지구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국가 특별경제구역으로도 지정됐다. 이 프로젝트의 개발 시행 총괄사는 고려인 전 상원의원이 운영하는 카스피안 그룹이다.
공급망 재편과 관세 전쟁이라는 큰 변화 한 가운데 있는 우리에게 중앙아시아 개척을 위한 과제는 결국 ‘누구와,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이다. 이러한 변화에 고려인 비즈니스 네트워크와 협업을 통한 선제적 대응이 우리 기업들에게 단순한 위기 돌파구가 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성장 엔진이 될 것을 기대한다.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