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 세번째부터 세이야 카토 일본 결핵연구기관 책임자, 이효근 에스디바이오센서 대표이사, 조상래 한국 국제결핵연구소 소장. (사진=에스디바이오센서)
왼쪽 세번째부터 세이야 카토 일본 결핵연구기관 책임자, 이효근 에스디바이오센서 대표이사, 조상래 한국 국제결핵연구소 소장. (사진=에스디바이오센서)
에스디바이오센서는 일본 결핵연구기관, 한국 국제결핵연구소와 함께 지난달 28일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에스디바이오센서 기흥사무소에서 3자간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MOU는 에스디바이오센서가 보유한 현장 신속분자진단 시스템 '스탠다드 M10'의 광범위 내성 결핵 신규제품 연구개발을 위해 추진됐다.

협약식에는 이효근 에스디바이오센서 대표이사, 세이야 카토 일본 결핵연구기관 책임자, 조상래 한국 국제결핵연구소 소장 등이 참석했다.

각 기관은 이번 MOU로 '광범위 내성 결핵 제품 연구개발'을 위해 ▲제품 연구개발 ▲연구수행 및 타당성 검증 ▲제품 승인 및 상용화 등 협력한다는 계획이다.

광범위 내성 결핵은 결핵 치료제 중 1차 약제에 대한 다약제 내성에 더해, 2차 약제인 플루오로퀴놀론과 최소 1개 이상의 그룹 A 약제에 내성을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 해당 약제에 내성이 생긴 환자의 경우 사망률이 25% 이상으로 알려져있어 빠른 진단과 적절한 약물이 중요하다.

에스디바이오센서는 이번 MOU를 통해 개발 예정인 광범위 내성 결핵 제품은 향후 아시아 권역 결핵고위험국가의 결핵 퇴치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이효근 에스디바이오센서 대표이사는 "이번 MOU를 계기로 3자가 협력해 개인 맞춤 약 처방을 위한 더욱 혁신적이고 뛰어난 성능의 M10 광범위 내성 결핵 제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한·일간 교류와 협력을 지속해 양국을 넘어 아시아 지역 내 환자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진단 능력을 강화하고 국제적 결핵 퇴치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이서후기자 [email protected]